데이터 상세

인천관광공사_인천섬정보

도서발전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인천섬 정보목록으로, 섬에 대한 상세정보(주소, 날씨, 섬 세부설명 등)를 제공합니다.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라며,
데이터 자체에 대한 문의는 아래 제공기관의 관리부서 전화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SV
인천관광공사_인천섬정보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파일데이터 정보

인천관광공사_인천섬정보로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파일데이터명 인천관광공사_인천섬정보_20240924
분류체계 문화체육관광 - 관광 제공기관 인천관광공사
관리부서명 총무인사팀 관리부서 전화번호 032-899-7337
보유근거 인천관광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3장 제18조(사업) - 관광 및 마케팅 관련 사업을 수행함에 따른 유관데이터 보유 필요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월간 차기 등록 예정일 2025-01-10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23
확장자 CSV 키워드 인천관광,마케팅,섬정보
데이터 한계 다운로드(바로가기) 90
등록일 2024-09-24 수정일 2024-12-10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도서발전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인천섬 정보목록으로, 섬에 대한 상세정보(주소, 날씨, 섬 세부설명 등)를 제공합니다.
기타 유의사항 데이터 공란 사유 : 데이터 미집계로 인하여 별도 입력값 없음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미리보기

※ 파일 데이터의 일부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 내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섬코드 군구코드 정렬순서 섬_코드 섬이름 섬보조문구 예약링크 특산품링크 섬설명 특성화설명 낚시(봄)설명 낚시(여름)설명 낚시(가을)설명 낚시(겨울)설명 행정구역 날씨연계 위치 총면적 인구수 접근성 위도 경도 첨부파일명 첨부파일명1 첨부파일크기 사용여부 수정일 등록이름 등록일
1 강화군 5 AR0101 석모도 전국 3대 관음성지 보문사가 있는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shopping/product/ginseng.jsp 강화도의 서편 바다 위에 있는 작은 섬 석모도는 외포리 선착장에서 출발하는 배를 타면 5분 남짓 거리에 있다. 대동여지도에 ‘돌이 많은 해안 모퉁이’ 라는 뜻의 ‘돌모로’를 한자화하여 ‘석모로’라는 지명을 갖게 되었다. 석모도에는 전국 3대 관음성지 보문사가 있으며 이는 뱃길이 험해 해상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지역에 자비로운 관세음보살이 보살펴주시길 바랐던 바람이었다고 한다. 해미지 마을_나룻뿌리항 농어촌 복합체험마을 조성 2016년부터 2018년동안 30억의 예산을 통해 삼산연륙교 개통으로 인한 나룻뿌리항의 침체에 대비하고자 지역을 활성화하고 농어촌지역의 경관개선과 소득기반사업을 통해 도시민 유입을 촉진시켜 농어촌지역의 주민 소득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하였다. 표층 : 16.2℃ / 저층 : 15.8℃ 대상어종 : 숭어, 농어, 우럭, 망둥어 표층 : 23.3℃ / 저층 : 22.9℃ 대상어종 : 숭어, 농어, 우럭, 망둥어 표층 : 17.4℃ / 저층 : 17.0℃ 대상어종 : 우럭, 망둥어 표층 : 1.2℃ / 저층 : 1.2℃ 대상어종 : 숭어, 농어, 우럭, 망둥어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삼산면 (위도)37도 41분 23.01초N, (경도)126도 19분 56.25초E 2017년 연륙 42.29㎢ 2,175명(2023.1.기준) 연륙(강화-석모도) 37.6905324 126.33202430977997 sm_fishing.png 20220902_PEyGVYPJHYB.png 26813 Y 2023-06-02 10:30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2 강화군 3 AR0102 동검도 세관검사를 해서 유래된 이름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shopping/product/ginseng.jsp 강화도에는 북쪽과 가까워 검문소가 많은데 옛날에도 움직이는 수상한 배를 검문하던 섬 중 하나가 동검도로 이 섬에서 세관검사를 해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서울로 향하는 배는 주로 동검도를 거쳐 염하로 해서 한강으로 들어왔다. 영종도에서 북쪽으로 5km정도 떨어져 있는 조그마한 섬으로, 현재는 연도교로 강화도와 연결되어 있어 언제든지 갈 수 있는 섬이 되었다. 행복검문소 동검리 고유의 생태경관 및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관광 명소화를 통한 새로운 소득기반 마련 및 농어촌 고령화에 대비한 귀농귀어 유도하고자 길상면 동검리 서두물항 일원을 대상으로 현재 섬 특성화사업 2단계를 추진 중에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리 길상면 (위도)37도 35분 33.93초N, (경도)126도 30분 57.06초E1985년 연륙 1.89㎢ 149명(공공데이터포털 2023.7.기준) 길상면 선두리에서 접근 가능 37.58857969802871 126.51494345576824 Y 2023-06-02 10:29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3 강화군 2 AR0103 교동도 강화군에서 제일 넓은 평야를 지닌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shopping/product/ginseng.jsp 교동도는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쪽에 위치한 섬으로, 면적이 크지는 않지만 강화군에서 제일 넓은 평야를 지니고 있는 섬이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해상교통로로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방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한때는 삼도수군통어영이 교동도에 설치되어 서해바다를 지키는 보루 역할을 하기도 했다. 또한, 교동도는 역사적으로 유배지로도 유명하여 고려 때 최충헌에 의해 폐위된 희종, 중종반정으로 임금의 자리에서 쫒겨난 연산군과 광해군, 광해군의 형 임해군, 동생 능창대군을 이어 그 뒤로도 계속해서 주로 왕족들이 귀양을 온 곳이다. 6.25때에는 북한 연백군에서 교동도로 잠시 피난 온 주민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대룡시장이 있으며 깊은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25역의 예산을 투입하여 교동도 일원(대룡시장 등)의 근대문화 공간을 조성하여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각시키고, 관광객들에게 청종 유배지와 한증막 체험 등을 제공해 주민소득증대를 위한 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교동면 (위도)37도 47분 31.26초N, (경도)126도 19분 43.04초E2014년 연륙 47.15㎢ 2,816명(2023.1.기준) 강화도에서 교동대교 통해 이동 37.789487 126.269003 gd_fishing.png 20220902_PKVWVxcgwCM.png 23157 Y 2023-06-02 10:27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4 강화군 4 AR0104 볼음도 볼음도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shopping/product/ginseng.jsp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들어가면 서도면의 볼음도, 아차도, 주문도 세 개의 섬 중 가장 큰 섬이다. 볼음도의 면적은 여의도의 2배만하며, 대부분 논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 가구의 95% 이상이 농사를 짓는 농촌지역이다. 볼음도에는 천연기념물인 노랑부리갈매기, 저어새 등이 서식하며, 800년 전 수해로 나무가 떠내려와 건져다 심었는데 20미터가 훌쩍 넘는 나무로 성장한 천연기념물 제304호 은행나무가 있다. 저어새 생태마을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약 2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강화도 서도면의 우수한 천혜의 자연생태 자원을 바탕으로 철새와 갯벌체험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생태여행지로 친환경적으로 개발하여 주민소득과 연계하기 위해 볼음도리 일원에 사업을 추진하였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 서도면 선수선착장으로부터 약11마일(17.8km) 6.58㎢ 273명(2023.1.기준) 여객선 (강화외포항-볼음도)1시간 30분 소요 37.669978273422174 126.19214537114352 be_fishing.png 20220902_ikandlGMJDW.png 20185 Y 2023-06-02 10:24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5 강화군 1 AR0105 강화도 파란만장한 역사를 간직한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shopping/product/ginseng.jsp 강화도는 우리나라 5대 섬으로 강을 끼고 있는 좋은 고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서해안 한강 어귀에 위치한 강화도는 지리적으로 고려의 서울인 개성과 조선의 서울인 한양과 가까이에 있어 파란만장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강화도를 본도로 주위에는 석모도, 교동도, 볼음도, 주문도 등 유인도 11개와 무인도 18개가 있다. 어디에 그 섬들이 있는지 의아해 할 수도 있지만 강화도에서 간척사업이 있기 전까지는 더 많은 섬이 있었으며, 마니산도 원래는 고가도라는 섬이었다고 한다. 국정마을_역사문화 스토리텔링 접경지역의 쾌적한 자연과 생태공간, 잘 보전된 전통문화 등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 기존의 농업생산 이외의 주민 스스로 다양한 소득원을 창출할 수 있또록 지원하고자 강화군 강화읍 국화2리 일원을 대상으로 섬 특성화사업 2013년~2016까지 추진하였다. 분오마을_분오저어새 생태마을 세계적으로 희귀종인 저어새 번식, 서식지 및 갯벌생태계 보전을 통한 어촌마을의 관광명소화 기반 마련과 지역경관 및 역사자원을 연계하여 마을 주민의 소득증대 교육 추진 및 지역역량강화사업 연계를 목적으로 218년부터 2020년가지 특성화사업 3단계를 추진하였다. 행복검문소 동검리 동검리마을을 대상으로 행복검문소 동검리 만들기 특성화사업 2단계 추진 중에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읍 (위도)37도 44분 47.50초N, (경도)126도 29분 16.20초E1997년 연륙 303.32㎢ 약 64,130명(2023.1.기준) 강화대교, 초지대교 37.719589571915485 126.45069891773401 gh_fishing.png 20220902_RQHJpmzphnS.png 26388 Y 2023-06-02 10:34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21 웅진군 8 AR0106 소청도 지질학적 가치가 있는 청도(靑島)는 ‘검푸른 섬’의 의미를 가지는데, 멀리서 바라보면 울창한 것이 마치 눈썹을 그리는 검푸른 먹黛과 같이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남동쪽에 위치한 분바위는 원나라 순제가 이 섬에 유배되었을 때 주악을 즐겼던 곳으로 유명하다. 교통은 인천에서 소청도를 경유하여 대청도와 백령도로 가는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소청도는 2022년 섬 특성화사업 1단계에 착수하여 주민참여를 통한 섬 브랜드 개발에 나섰다. 스트로마톨라이트, 분바위, 국가철새연구센터 등 자원이 풍부한 섬인 만큼 다양한 시도를 거치고 있다. 표층 : 9.0°C / 저층 : 8.0°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표층 : 23.1°C / 저층 : 20.9°C대상어종 : 넙치, 농어, 우럭 표층 : 12.7°C / 저층 : 12.4°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삼치, 쏠뱅이, 우럭 표층 : 1.5°C / 저층 : 1.6°C대상어종 : 노래미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대청면 옹진반도로부터 서쪽으로 약 40㎞, 대청도에서 남동쪽으로 4.5㎞ 지점 2.94㎢ 216명(2023.4.기준) 여객선(연안부두-소청) 3회일 3시간 30분 소요 37.772366 124.749009 sch_fishing_1.png 20221007_JvEIIWDznNq.png 25508 Y 2023-06-02 09:34 총관리자 2022-09-14 09:07
22 웅진군 14 AR0107 자월도 자연 그대로의 멋이 있는 인조 때 관가에 근무하던 사람이 귀양살이를 와서 첫날밤 보름달을 보고 억울함을 호소하였더니, 달이 붉어지며 바람이 일고 폭풍우가 몰아쳐 하늘도 자기의 억울함을 알아준다 하여, 이곳의 이름을 달이 붉어졌다는 뜻의 자월도라 지었다고 한다. 자월도에는 달바위선착장이 있으며, 대이작도 건너편에 소이작도 그리고 승봉도, 자월도 그리고 선갑도가 서로 근접해 있다. 표층 : 9.3°C / 저층 : 8.6°C대상어종 : 넙치, 우럭 표층 : 23.5°C / 저층 : 21.6°C대상어종 : 넙치, 우럭 표층 : 14.1°C / 저층 : 14.1°C 대상어종 : 넙치, 우럭, 농어 표층 : 3.2°C / 저층 : 3.2°C 대상어종 : 넙치, 우럭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자월면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35㎞ 지점 7.12㎢ 702명(공공데이터포털 2021.7.기준) 여객선(연안부두-자월) 3~4회일 1시간 10분 소요 37.25541673677083 126.31348765141432 jw_fishing_1.png 20221007_ArwYitOCGAK.png 32156 Y 2023-06-02 02:51 총관리자 2022-09-14 09:08
23 웅진군 6 AR0108 주문도 해당화와 가을철새가 살아있는 자연의 섬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shopping/product/ginseng.jsp 조선 중기에 임경업(林慶業)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떠날 때 이 섬에서 임금에게 하직의 글월을 올렸다고 하여 주문도(奏文島)라 하던 것을 물 가운데 섬에서 글을 올렸다는 뜻의 주문도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대빈창해수욕장과 뒷장술해수욕장에는 여름에 해당화가 만발한다고 한다. 주문도 남쪽 분지도라는 무인도에 처녀바위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서도면 강화도에서 서쪽으로 14.5㎞ 지점 4.55㎢ 369명(2023.1.기준) 여객선(선수-주문도(살곶이)) 3회일 35분 소요 37.64365579265937 126.24238658437088 0 Y 2023-06-02 10:20 총관리자 2022-09-14 09:08
6 웅진군 15 AR0201 장봉도 갯벌 68.4㎢가 습지보호구역인 https://www.ongjinmall.co.kr/ 장봉도는 신도, 시도, 모도와 함께 북도면에 속한 섬이다. 섬의 중앙지점에 해발 149m의 국사봉을 중심으로 높고 낮은 외줄기 능선이 동서로 길게 뻗어있어 길다는 의미의 ‘장'과 봉우리 ‘봉' 글자를 사용하여 장봉도라 불렸으며, 서쪽 끝 약 4km 거리에서는 무인도인 동만도와 서만도가 위치해있다.장봉도는 예로부터 어장으로 유명해서 우리나라 3대 어장에 손꼽혔으며, 국토해양부에서는 2003년 이 일대 갯벌 68.4㎢를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총 25억원을 투입해 해안둘레길 9km 개설, 옹암선착장 경관개선, 옹암해변 소규모 무대설치, 말문고개 진달래 군락지 조성, 전통 곳배 복원, 휴게공간 조성 사업 등을 추진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트래킹코스 재구성, 안내지도 제작 등 트래킹코스 개발 및 운영과 섬 이미지를 상징한 브랜드개발 및 트래킹 안내센터 운영 등 장봉도 트래킹 활성화를 위한 섬 트래킹 중심형 특화사업 개발 및 시범운영하였다. 표층 : 12.8°C / 저층 : 12.3°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붕장어, 숭어, 우럭 표층 : 27.2°C / 저층 : 25.9°C 대상어종 : 넙치, 붕장어 표층 : 10.8°C / 저층 : 11.3°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숭어, 우럭, 망둥어 표층 : 0.8°C / 저층 : 0.8°C 대상어종 : 노래미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 북도면 삼목선착장에서 6.4마일(10.3km) 7.15㎢ 977명(2023.4.기준) 여객선(삼목선착장-신도-장봉)여객선 40분 37.536941 126.350382 jb_fishing.png 20220902_HZjwaApAzsJ.png 28868 Y 2023-06-02 09:16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7 웅진군 11 AR0202 신도 주민들의 순박함과 성실성을 고려하여 https://www.ongjinmall.co.kr/ 신도는 조선왕조 말엽인 1880년경부터 이곳에서 화염을 제조하였다 하여 "진염" 이라 불리워오다가 1914년 강화군 제도면에 속하게 되어 이곳의 명칭을 주민들의 순박함과 성실성을 고려하여 '믿을 신'자와 '섬도'자를 따서 신도라 불리우게 되었다 한다. 신,시,모도는 영종도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관광지로 섬 특성화사업을 통해 섬의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풍부하게 갖춰나가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표층 : 16.0℃ / 저층 : 14.7℃ 대상어종 : 광어, 노래미 표층 : 23.6℃ / 저층 : 22.5℃ 대상어종 : 숭어, 광어, 농어, 망둥어, 붕장어 표층 : 17.0℃ / 저층 : 17.0℃ 대상어종 : 숭어, 망둥어, 우럭, 광어, 붕장어, 쭈꾸미 표층 : 1.2℃ / 저층 : 1.0℃ 대상어종 : 망둥어, 우럭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신도리 북도면 삼목선착장에서 (신도 기준) 1마일(약1.6km) 7.16㎢ 659명(2023.4.기준) 여객선(삼목선착장-신도) 19회일10분 소요 37.528164 126.452447 sin_fishing.png 20220902_WunDJCguomX.png 24439 Y 2023-06-02 09:30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8 웅진군 1 AR0203 대이작도 해적이 은거한 섬 http://daeijakdo.kr/ https://www.ongjinmall.co.kr/ 이작도는 고려사와 동국여지승람에는 이즉도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이작도라는 지명은 세곡선을 약탈하는 이적이라 불리던 해적의 근거지였고, 이곳에서 약탈을 일삼던 왜구를 이적이라고 불렀는데 거기서 생긴 이름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고증된 사실은 아니다. 이작도는 대이작도와 그 옆에 작은 소이작도가 있으며, 썰물 때에만 드러나는 드넓은 풀등이 유명하다. 2010년 공모 형태로 진행된 명품섬 베스트 10 사업에 대이작도, 교동도가 선정된 이후 섬 특성화 사업을 증대하였다. 표층 : 9.3°C / 저층 : 8.6°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숭어 표층 : 23.5°C / 저층 : 21.6°C대상어종 : 넙치, 농어, 숭어, 우럭 표층 : 14.1°C / 저층 : 14.1°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숭어, 우럭 표층 : 3.2°C / 저층 : 3.2°C대상어종 : 숭어, 우럭 인천 옹진군 자월면 이작1,3리 자월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25.5마일(약41km) 2.59㎢ 278명(2023.4.기준) 여객선(인천-대이작) 1일 4회여객선 1시간 20분 37.169814 126.262938 dyj_fishing.png 20220902_sQhEQMvznfP.png 33750 Y 2023-06-02 09:57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9 웅진군 7 AR0204 소이작도 드넓은 풀등이 유명한 http://daeijakdo.kr/ https://www.ongjinmall.co.kr/ 이작도는 고려사와 동국여지승람에는 이즉도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이작도라는 지명은 세곡선을 약탈하는 이적이라 불리던 해적의 근거지였고, 이곳에서 약탈을 일삼던 왜구를 이적이라고 불렀는데 거기서 생긴 이름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고증된 사실은 아니다. 이작도는 대이작도와 그 옆에 작은 소이작도가 있으며, 썰물 때에만 드러나는 드넓은 풀등이 유명하다. 소이작도는 총 25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지난 2018년부터 오는 2021년까지 갯티길 조성, 소이작 여행자센터 신축, 해변길 경관 개선, 주민역량강화, 마을홍보 등 소이작도만의 특색 있는 상품개발과 비전 있는 마을 조성을 위해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표층 : 9.3°C / 저층 : 8.6°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숭어 표층 : 23.5°C / 저층 : 21.6°C 대상어종 : 넙치, 농어, 숭어, 우럭 표층 : 14.1°C / 저층 : 14.1°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숭어, 우럭 표층 : 3.2°C / 저층 : 3.2°C 대상어종 : 숭어, 우럭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2리 자월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25.8마일(약42km) 1.41㎢ 107명(2022.4.기준) 여객선(인천-소이작) 4회일 여객선 1시간 37.182984 126.233116 syj_fishing.png 20220902_afzFTepRmON.png 28398 Y 2023-06-02 09:56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0 웅진군 9 AR0205 승봉도 봉황새가 하늘로 날아오르는 https://www.ongjinmall.co.kr/ 승봉도의 본래 이름은 신황도였다고 한다. 예전에 신씨, 황씨 성을 가진 두 사람이 고기를 잡던 중 풍랑을 만나 표류해서 오게 되었는데 먹을 것도 많고 경관도 좋아 이 섬에 눌러 살며 두 사람의 이름을 따 ‘신황도’로 이름 지었다. 그 뒤에 오랜 시간이 지나 섬의 모양이 봉황새가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과 비슷해 지금의 지명을 갖게 되었다. 2013년에 “찾아가고 싶은 섬”에 선정되어 캠핑장 및 연꽃 체험마을을 조성하여 캠핑 및 트레킹 특성화 관광명소치유의 섬 승봉도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7까지 섬 특성화사업 추진하였다. 표층 : 9.3°C / 저층 : 8.6°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숭어, 우럭 표층 : 23.5°C / 저층 : 21.6°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숭어, 우럭 표층 : 14.1°C / 저층 : 14.1°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숭어, 우럭 표층 : 3.2°C / 저층 : 3.2°C 대상어종 : 숭어, 우럭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 자월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29.2마일(약47km) 6.39㎢ 233명(2022.4.기준) 여객선(인천-승봉) 1일 4회여객선 1시간 50분 37.166752 126.306802 sb_fishing.png 20220902_ffnhuZJxdYg.png 30041 Y 2023-06-02 09:59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1 웅진군 13 AR0206 영흥도 인천상륙작전의 전초기지 https://www.ongjinmall.co.kr/ 선재대교와 영흥대교가 완공되면서 육지로 이어진 섬이 되어 언제든 쉽게 갈 수 있는 ‘영흥도’는 우리 역사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는 곳이다. 고려시대 몽고군의 침략이 있었을 때는 배송준이 이끄는 삼별초가 영흥도를 기지로 삼아 70여 일 동안 몽고에 대항해 싸웠고 6.25전쟁 당시에는 인천상륙작전의 전초기지가 되어 전세를 역전시켰던 역사를 지닌 곳이다. 내동마을, 진두마을 현재 특성화사업 2단계로 2019년부터 주민교육, 리더양성 과정을 실시, 현재 마을 브랜드 형성 및 기초 인프라 구축사업 진행 중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영흥면 (위도)37도 15분 46.82초N, (경도)126도 27분 46.90초E2001년 연륙 23.57㎢ 5,604명(2023.4.기준) 연도교(영흥대교), 선재-영흥(10분) 37.266144870093726 126.46276558632878 yh_fishing.png 20220902_mOPkIOhjRoz.png 27025 Y 2023-06-02 10:00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2 웅진군 12 AR0207 연평도 국방의 전초기지를 담당하는 https://www.ongjinmall.co.kr/ 연평도는 대연평도와 소연평도로 나뉘어져 있으며 섬의 모양이 길고 평평하게 뻗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대연평도의 남쪽 4.5km 지점에 소연평도가 있으며, 그 밖에 4개의 무인도가 함께 어우러져 있다. 또한, 북한의 부포리와는 불과 10km, 석도와는 2.8km로 국방의 전초기지를 담당하고 있는 군사지역이다. 1999년 6월 15일과 2002년 6월 29일에는 2차례에 걸쳐 북한 경비정의 NLL침범으로 ‘연평해전’이 발생했고, 2010년 11월 23일에는 ‘연평도 폭격사건’이 있었던 곳으로, 연평도 안보교육장에 가면 급박했던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 연평특화마을 연평도는 현재 섬 특성화사업 2단계 진행중이며, 지역의 인적자원을 활용한 연평도 특화 먹거리 기반을 마련하고, 연평도 섬여행 정착을 위한 관광숙박 여행상품을 개발하였다. 또한, 협력적 공동마케팅 시스템 구축 및 주민 운영역량을 확보하였다. 표층 : 9.0℃ / 저층 : 8.0℃ 대상어종 : 광어, 간재미, 우럭, 농어, 숭어, 노래미 표층 : 23.1℃ / 저층 : 20.9℃ 대상어종 : 광어, 우럭, 농어, 숭어, 노래미 표층 : 12.7℃ / 저층 : 12.4℃ 대상어종 : 광어, 간재미, 농어, 숭어, 노래미 표층 : 1.5℃ / 저층 : 1.6℃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영흥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51마일(약81km) (대연평도)6.26㎢(소연평도)1.01㎢ (대연평도)2,016명(소연평도)113명(2023.4.기준) 여객선(연안부두-연평)여객선 2시간 37.67003 125.695652 yp_fishing.png 20220902_zSiATYhvRHT.png 28795 Y 2023-06-02 09:25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3 웅진군 6 AR0208 백령도 서해 최북단의 섬 http://www.baekryongmall.com/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의 섬으로 대한민국에서 8번째로 큰 섬이다. 백령도 서북쪽의 두무진과 북한의 장산곶 중간에는 효녀심청이 아버지를 위해 뱃사람에게 공양미 300석에 몸을 팔아 바다에 빠졌다는 인당수가 사나운 물결을 꿈틀거리고 있고 백령도의 남쪽에는 인당수에 빠졌던 심청이 용궁에 갔다가 타고 온 연꽃이 조류에 밀려 바위에 걸렸다는 연봉바위가 있다. 호수마을 백령도는 접경지역이라는 지역 특수성으로 인해 잠재자원 및 보유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을 극복하고 백령면 남포리 지역의 백령 호수마을 조성사업과 관련하여 농촌마을 주민의 자생력과 경쟁력 강화를 통한 마을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16년부터 섬 특성화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108마일(약173km) 51.09㎢ 4,942명(2023.4.기준) 여객선(연안부두-소청-대청-백령항)여객선 4시간 37.957793 124.677445 bg_fishing.png 20220902_JUHeHNQIbGp.png 26768 Y 2023-06-02 09:29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4 웅진군 2 AR0209 대청도 해안사구가 있는 https://www.ongjinmall.co.kr/ 인천에서 쾌속선을 타고 3시간 반을 가야하는 먼 거리의 대청도는 오래 전 유배지였다. 고려말부터 조선 초까지 대청, 소청도는 세곡선을 약탈하려는 해적들의 소굴로 변하고 말았는데, 세종 10년에 이르러서 국가적 관심이 증대되고 광해군 1년에 해적 토벌을 위해 진을 다시 설치하고 나서야 안정을 되찾아 점차 많은 주민들이 거주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 시기에는 고래잡이의 중심지이기도 했으며, 대청도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모래사막이 형성되어 있고, 해안사구가 잘 발달되어 있다. 현재 특성화사업 2단계로 『대청 섬마을 지오비즈니스 사업 기본 계획』을 근거로 대청면 대청3리(옥죽동) 지역특성화사업 지역역량강화을 시행하고, 대청 특산물(수산물 외)을 적극 활용한 수익 상품 발굴에 집중하여 향토 음식, 수산물 소규모 패키지 및 포장재고정 판매 활로를 확보 예정이며, 지역특성화사업 지역역량강화사업이 핵심으로 브랜드 개발 및 법인설립 사업운영지원 및 컨설팅주민 역량 강화를 진행예정이다. 표층: 9.0°C / 저층 : 8.0°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표층: 23.1°C / 저층 : 20.9°C대상어종 : 넙치, 농어, 우럭 표층: 12.7°C / 저층 : 12.4°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삼치, 쏠뱅이, 우럭 표층: 1.5°C / 저층 : 1.6°C대상어종 : 노래미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대청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106마일(약 171km) 12.66㎢ 1,209명(2023.4.기준) 여객선(연안부두-소청-대청항)여객선 3시간 30분 37.824765 124.700082 dch_fishing.png 20220902_FLLbzUdqUYZ.png 34185 Y 2023-06-02 09:33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5 웅진군 3 AR0210 덕적도 오래된 역사를 지닌 http://deokjeok.co.kr/ https://www.ongjinmall.co.kr/ 덕적도는 우리나라 섬 가운데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는 고장이다. 덕적도가 속한 덕적면은 42개의 유,무인도가 펼쳐져 있어 덕적군도 라고도 부른다. 덕적면에 위치한 소야도, 굴업도, 백아도, 울도, 지도, 문갑도, 선미도에 가려면 덕적도에 도착 후 다른 배로 갈아타야 갈 수 있다. 호박진리 덕적도 진리는 지난 2019년 섬 특성화사업 공모 선정으로 현재 3단계 완료하여 최초로 4단계 사업 공모를 준비 중에 있다. 덕적도 특산물인 단호박을 활용하여 주민공동체 중심으로 관광소득사업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주민소득을 증대하고 섬관광을 활성화하고자 각종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표층 : 9.3°C / 저층 : 8.6°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붕장어, 우럭 표층 : 23.5°C / 저층 : 21.6°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붕장어, 우럭 표층 : 14.1°C / 저층 : 14.1°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우럭, 붕장어, 주꾸미 표층 : 3.2°C / 저층 : 3.2°C대상어종 : 노래미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진리 덕적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28마일(약45km) 20.8㎢ 1,361명(2023.4.기준) 여객선(연안부두-덕적)여객선 1시간 10분 37.237952 126.121229 dj_fishing.png 20220902_skYtqJKcKba.png 35728 Y 2023-06-02 09:35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6 웅진군 5 AR0211 문갑도 소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진 https://www.ongjinmall.co.kr/ 섬의 생김새가 선비의 책상 문갑과 같다 하여 문갑도라 불렀다고 전해지나, 조선시대에는 섬의 형태가 ‘장수가 투구를 쓴 모양’이라는 뜻의 독갑도라고 불렸다고 한다. 섬 전체가 소나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문갑도는 덕적군도의 섬들 중에서 유일하게 논농사가 있는 곳이다. 높은 산과 구릉의 기복이 심해서 경지면적을 부족하지만 이 섬의 풍족한 물 때문에 논농사를 지을 수 있었는데, 화유산의 작은 계곡에는 가재와 도룡뇽이 살 정도로 물이 깨끗하다고 한다. 문갑 도시락마을 옹진군 덕적면 문갑리 일원의 특성화사업의 핵심인 주민주도의 지속가능한 사업 추진을 위해 주민의 사업 참여 확대 및 운영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기초역량 향상을 위해 219년부터 주민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하여 현재 섬 특성화사업 1단계 추진중이다. 표층 : 9.3°C / 저층 : 8.6°C 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우럭 표층 : 23.5°C / 저층 : 21.6°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우럭 표층 : 14.1°C / 저층 : 14.1°C대상어종 : 넙치, 노래미, 농어, 우럭 표층 : 3.2°C / 저층 : 3.2°C 대상어종 : 노래미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문갑리 덕적면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서 36.33마일(약58.5km) 3.54㎢ 105명(2023.4.기준) 여객선(덕적-문갑)여객선 20분 37.176335 126.098714 mg_fishing.png 20220902_dRCBtTNWIuL.png 28355 Y 2023-06-02 09:36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7 웅진군 1 AR0301 소무의도 인천상륙작전 당시 군 병참기지로 이용된 http://muui-do.co.kr/ https://www.icjg.go.kr/tour/ctsh0302a 소무의도는 무의도에서 다리로 연결된 섬이다. 다른 이름은 ‘떼무리’로, 인도교와 연결되는 서쪽마을 선착장 이름도 떼무리 선착장으로 불린다. 소무의도의 역사는 3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박씨 가족이 세 딸과 함께 들어와 섬을 개척했고, 유씨 청년을 데릴사위로 삼으면서 유씨 집성촌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후에 인천상륙작전 당시에는 군 병참기지로 이용된 곳이기도 하다. 춤추는 소무의도 인천공항과 인접하고, 무의 연도교 개통으로 접근성이 좋은 소무의도는 섬을 테마로 한 특화공간 및 휴양과 체험의 장 등을 조성하여 주민 소득 증대 및 신규 일자치 창출로 관광중심의 지속가능한 경제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15년부터 특성화사업을 추진하여 현재 2단계 진행 중에 있다. 표층 : 12.5℃ / 저층 : 11.8℃ 대상어종 : 광어, 우럭, 농어, 붕장어, 삼치, 쭈꾸미 표층 : 23.3℃ / 저층 : 22.2℃ 대상어종 : 광어, 우럭, 농어, 붕장어, 삼치 표층 : 16.9℃ / 저층 : 16.8℃ 대상어종 : 광어, 우럭, 붕장어, 삼치, 쭈꾸미 표층 : 0.8℃ / 저층 : 0.8℃ 대상어종 : 농어, 우럭, 붕장어, 삼치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영종동 (위도)37도 22분 23.56초N, (경도)126도 26분 33.24초E2019년 연륙 0.17㎢ 52명(2022.7.기준) 영종-대무의도-소무의도 (연륙) 37.372396 126.44345 mu_fishing.png 20220902_lLXgktkaWny.png 18159 Y 2023-06-02 11:07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8 웅진군 1 AR0401 세어도 옛 어촌의 모습을 잘 간직한 http://www.xn--hq1b37if5gh1eba51vm0oduan74d.kr/ http://www.xn--hq1b37if5gh1eba51vm0oduan74d.kr/marketproduct 세어도는 가늘고 길게 늘어선 섬이라는 뜻이다. 육지로부터 1.2km 떨어진 세어도와 육지를 잇는 교통수단은 특이하게도 서구청의 행정선인 정서진호가 유일하다. 하루 1회 12명, 3회만 운항해 하루에 총 36명만 이 섬에 들어갈 수 있다. 자동차와 빌딩이 없어 조용하며 옛 어촌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섬이다. 슬로우아일랜드 세어도는 행정안전부의 섬 특성화사업 공모에 2단계 사업으로 선정되어 우수한 특성화 섬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섬 관광자원을 적극 발굴 및 활용하여 섬 주민이 주도하는 주민소득 증대사업 개발 및 주민역량 강화를 추진 중에 있다. 인천 서구 세어로 신현원창동 세어도선착장으로부터 약3.7km 0.41㎢ 34명(2022.7.기준) 행정선 1일 1회세어도 선착장-세어도 10분 37.574355 126.562768 se_fishing.png 20220902_jTMdqWlUAZT.png 24831 Y 2023-06-02 10:35 슈퍼관리자 2021-09-17 11:02
19 웅진군 10 AR0212 시도 '활시'자와 '섬도'자를 따서 https://www.ongjinmall.co.kr/ 시도는 고려 말엽 외적으로부터 나라를 보호하기 위하여 군대를 양성하던 중 외부로부터 비밀리에 훈련을 시키기 위하여 강화군 마이산에서 군대를 양성하고 군인들이 훈련으로 본도를 목표로 활쏘기 연습을 하였다 하여 '활시'자와 '섬도'자를 따서 시도라 불려오며 일명 "살섬"이라고도 한다. 표층 : 16.0℃ / 저층 : 14.7℃ 대상어종 : 광어, 노래미 표층 : 23.6℃ / 저층 : 22.5℃ 대상어종 : 숭어, 광어, 농어, 망둥어, 붕장어 표층 : 17.0℃ / 저층 : 17.0℃ 대상어종 : 숭어, 망둥어, 우럭, 광어, 붕장어, 쭈꾸미 표층 : 1.2℃ / 저층 : 1.0℃ 대상어종 : 망둥어, 우럭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시도리 북도면 삼목선착장에서 (신도 기준) 1마일(약1.6km) 2.55㎢ 372명(2023.4.기준) 여객선(삼목선착장-신도) 19회일10분 소요 37.534933 126.42705 si_fishing.png 20220902_utrNSQoNLvt.png 21999 Y 2023-06-02 09:14 슈퍼관리자 2021-11-03 05:59
20 웅진군 4 AR0213 모도 '띠모'와 '섬도'자를 사용하는 https://www.ongjinmall.co.kr/ 조선왕조 말엽 1875년경 김포군 통진에서 살던 차영선이 고깃배를 갖고 모도 앞에서 조업중 고기는 잡히지 않고 띠(풀뿌리)만 어망에 들어가 조업을 못하고 이곳에 정착하게 되어 '띠모'와 '섬도'자를 사용 모도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신도, 시도와 함께 '신시모도 삼형제 보물섬' 특성화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표층 : 16.0℃ / 저층 : 14.7℃대상어종 : 광어, 노래미 표층 : 23.6℃ / 저층 : 22.5℃대상어종 : 숭어, 광어, 농어, 망둥어, 붕장어 표층 : 17.0℃ / 저층 : 17.0℃대상어종 : 숭어, 망둥어, 우럭, 광어, 붕장어, 쭈꾸미 표층 : 1.2℃ / 저층 : 1.0℃ 대상어종 : 망둥어, 우럭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모도리 북도면 삼목선착장에서 (신도 기준) 1마일(약1.6km) 0.76㎢ 117명(2023.4.기준) 여객선(삼목선착장-신도) 19회일10분 소요 37.532991 126.407503 mo_fishing.png 20220902_hXOIyjKBGvE.png 21953 Y 2023-06-02 09:13 슈퍼관리자 2021-11-03 06:01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ML JSON
인천관광공사_인천섬정보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오픈API 정보

인천관광공사_인천섬정보로 api형식의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서비스 인천관광공사_인천섬정보_20240924
분류체계 문화체육관광 - 관광 제공기관 인천관광공사
관리기관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 관리기관 전화번호 1566-0025
보유근거 인천관광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3장 제18조(사업) - 관광 및 마케팅 관련 사업을 수행함에 따른 유관데이터 보유 필요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월간 차기 등록 예정일 2025-01-10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23
확장자 XML, JSON 활용신청 1
데이터 한계 키워드 인천관광,마케팅,섬정보
등록일 2024-09-24 수정일 2024-12-10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도서발전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인천섬 정보목록으로, 섬에 대한 상세정보(주소, 날씨, 섬 세부설명 등)를 제공합니다.
기타 유의사항 데이터 공란 사유 : 데이터 미집계로 인하여 별도 입력값 없음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Swagger UI
Error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이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