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상세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_Export and Import Dangerous Goods Safety Management_Accident Information)로서 시스템상 수집된 사고정보를 표현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라며,
데이터 자체에 대한 문의는 아래 제공기관의 관리부서 전화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SV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파일데이터 정보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로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파일데이터명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_20231231
분류체계 교통및물류 - 물류등기타 제공기관 해양수산부
관리부서명 해사산업기술과 관리부서 전화번호 044-200-5836
보유근거 수집방법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주기 월간 차기 등록 예정일 2025-08-25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33
확장자 CSV 키워드 운송,위험물,사고
데이터 한계 다운로드(바로가기) 29
등록일 2024-06-22 수정일 2024-09-02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_Export and Import Dangerous Goods Safety Management_Accident Information)로서 시스템상 수집된 사고정보를 표현
기타 유의사항 공란사유: 데이터미집계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미리보기

※ 파일 데이터의 일부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 내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순번 사고명칭 사고일지 및 장소 피해상황 사고물질 사고내용 사고원인 사고시 조치사항 사고시 문제점
100 2002년 미국 염소가스 누출사고,고정시설 DFC 탱크로리,염소가스,미국 Missouri DFC Enterprise LP 2002-08-14 09:20:00 / 미국 Missouri DFC Enterprise LP 66명 중독, 근로자 및 인근 주민 수 백여명 대피 염소가스 CIa⑵ 22톤 2022-08-14, 06:30 트럭ddvsdv전자, 소분담당자, 운영관리자 등 4명의 작업자 염소가스 하역 시작 09:00 Standby 모드 전환 후 관계자 오전 휴식 09:20 3명의 작업자들에 의해 염소 탱크레일에 누출 확인 후 대피, 경보 알람음을 듣고 비상정지시스템 스위치 누른 후 대피 09:27 소방에 염소 누출사고 신고 09:30 공장 근로자9명비상대피 09:37 지 역 자원소방대 현장도착 및 소방 HAZMAT팀 지원요청 정찰팀 사고지점 및 인근지역 사상자 수색활동 주민대피 실시, 61번 고속도로 양방향 교통통제(교통국 지원요청) 등 11:15 대응팀 현장 도착, 누출 현장 염소오염 농도 1,000ppm 이상 확인 HAZMAT팀(3명)과공장근로자(1 명) 누출현장 내 진입 Mfeet(1.2m) 녹황색 염소가스 구름운으로 가시거리 확보에 어려움 밸브 잠금장치 잠금 및 주변지역 누출여부 확인 (누출 밸브 폐쇄하는데 많은 시간 소요) 시설운영자가 초동대응자에게 보호복을 착용 후 잠금장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염소가스 누출밸브신속 잠금00:00 소방초동조치 이후 사고현장을 통제, 공장 작업자 3인이 보호복을 착용한 후 사고지점 주변 소석회 살포(최소한의 보호수준 착용으로 작업자 병원 후송) 8.16(2일 경과) 환경복원 업체에서 오염부지 복원활동 수행 DFC에서 탱크로리에 염소를 주입하는 중 염소 트레일러 이송호스의 부식으로 염소 약 22톤이 3시간에 걸쳐 누출됨.염소분자와 대기 중 수분과 작용하여 염산생성으로 부식이 일어나 파열호스파열 원인: 저급품 사용 공식 규격화된 염소이송호스 사용, 비상정지시스템 점검비상대비계획 수립 및 지역주민 경보시스템 구축(사이렌) 필요다양한 레벨의 보호장비 구비 요구 비상정지시스템 감지센서 작동 오류로 장시간 밸브 개방건물 내 공기호흡기 장치 미비취급시실 내 보호장비 관리 및 배치 미흡
120 울산 울주군 메탄올 누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08-10 / 울산시 울주군 청량읍 1명 부상, 메탄올 15톤 가량 누출 메틸알코올(메탄올, UN1230, CLASS 3/6.1, 인화성 액체/독성 물질 ), 울산 울주군에서 경북 김천시로 운행하던 탱크로리 차량*이 도로상에서 전도, 적재 중이던 24.98톤 메틸 알코올(99~100%) 15.66톤(회수량: 9.32톤)이 도로상으로 누출 운행 중 고속도로 IC 진입을 위해 좌회전을 하는 중 차량이 전복, 수납된 메탄올이 누출
123 대구 달서구 황산 적재 탱크로리 누출 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10-28 /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 인근 황산 약 100kg 유출 황산(UN1830, CLASS 8, 부식성 물질) 대구물류터미널 안 주차장에 주차중인 황산 적재 탱크로리차량(24톤) 옆면의 크랙(Crack)으로 인하여 황산이 누출된 사고
115 경기도 시흥시 디클로로메탄 유출 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10-19 / 경기도 시흥시 도로상 용기파손으로 디클로로메탄 약 150L 유출 디클로로메탄(UN1593, CLASS6.1, 독성물질) 디클로로메탄 운반차량(4.5톤 트럭, 용기(270kg) 5개 적재)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도중 드럼용기(270kg) 4개가 낙하 되었으며, 1개 용기가 차량 충돌로 파손되어 바닥에 약 150L 누출 차량운행 중의 제대로 고정되지 못한 화물의 무게중심 변화로 차량에서 화물 낙하
110 폴리머 비드로 인한 MOO호 폭발/화재 사고,,,,,, 2017-04 / 동남아시아 인근 해역 선박의 선체와 갑판상부 경미한 손상 발포 성형용 폴리머 비드(UN2211, POLYMERIC BEADS, EXPANDABLE) 컨테이너선 MOO호가 동남아시아 인근 해역 항해 중 갑판 상부의 컨테이너 폭발이 발생, 소방선의 출동으로 사고 발생 2주 후 화재가 완전 진압됨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있던 폴리머비드(UN2211, 발포 성형용 폴리머 비드)에서 방출된 인화성 증기에 정전기의 스파크로 점화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 폴리머 비드는 인화성 증기를 발생시키므로, 인화성 증기를 축적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또는 밀봉 가능한 포장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나, 실제 사용된 컨테이너와 용기는 이런 요건을 미충족- 해당 컨테이너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갑판상부 중심부에 적재 예정이었으나,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적재구역 측면부에 적재되어 컨테이너 내부 온도가 상승, 인화성 증기의 생성을 촉진한 것으로 추정 해당 위험물을 부적절한 용기에 수납하였으며 선박운송 시 취급 부주의
121 전북 임실군 수산화나트륨 누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07-16 / 전북 임실군 인근 순천완주고속도로상 수산화나트륨 150kg 누출 50%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수산화소듐, UN1824, CLASS 8, 부식성 물질) 수산화나트륨(50%)이 적재된 탱크로리(27ton) 차량이 주행 중 핸들 과조작으로 차체 중심을 잃고 전도되어 상부 마개에서 수산화나트륨(50%) 150kg 누출 운전자의 부주의한 운행(핸들의 과조작)으로 인한 차량 전도
124 요르단 아카바항 염소가스 누출사고,,,,,, 2022-06-27(현지시간) / 요르단 아카바항 13명 사망, 약 250명 부상 염소(UN1027, CLASS 2.3/8/5.1/MP, 독성/부식성/산화성 등을 가진 유독가스) 2022-06-27, 요르단 아카바항에서 염소가스를 수납한 탱크컨테이너를 선박으로 선적 중 추락하여 탱크컨테이너 추락 및 염소가스 유출 염소가스 수납 탱크컨테이너의 중량이 선적시 사용한 케이블의 허용하중을 3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추정
108 부산 탱크로리 황산 누출 사고,운송차량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04-04 / 부산시 금정구 도로상 부상 1명 황산(UN1830, CLASS8, 부식성물질) 탱크로리차량((주)동백통운)이 운송 중 차량 하부의 연결파이프(Flexible Tube) 부위 파손으로 인해 도로상에 황산이 약 250 kg 누출 이동식 탱크 하단의 부속품인 연결파이프가 원인미상의 원인으로 파손되어 수납중이던 황산이 누출
67 MEK-PO 폭발 사고,고정시설,MEK, 황산, 과산화수소, DMP(Dimethyl phthalate), 솔벤트 등,솔벤트, 유기과산화물 등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 2000-08-24 10:10:00 / 전라남도 여수시 여천공단 OO케멕스(주) 인명피해 : 사망 7명, 부상 18명, 재산피해 : 약 60억, 환경피해 : 하천오염(방천) - 오일펜스 흡착포 설치 MEK-PO(메틸에틸케톤 과산화물) MEK-PO(Methyl Ethyl Ketone Peroxide)공정에서 포장작업 중 정상온도 30℃를 유지하지 못해 온도가 급상승하여 MEK-PO가 분해/폭발 MEK-PO는 80℃이상에 달하면 자유라디칼을 형성하면서 급속히 분해되어 폭발하는 위험성이 있어 작업후에는 중화작업을 실시해야 하나, 중화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기와 펌프 등을 가동하여 생성물의 저장조 온도가 상승되어 사고가 발생(추정) 소방 및 군, 지자체 관계자들이 출동하여 인명구조 활동을 실시하으며, 폭발사고의 조기수습을 위하여 여수시청에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사고지역 주변 업체에 대한 정밀 안진단을 실시. ※ 현장 동원인원 993명, 장비 64(소방차 29, 구급차 16, 구조차1, 기타12) 안전관리규정 미수와 근로자의 안전교육 미흡
119 충남 서천군 염산 유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09-02 / 충남 서천군 삼산리 인근 도로 염산 약 290kg 유출 35% 염산(UN1789, CLASS 8, 부식성 물질) 충남 서천군 서천읍 삼산리 인근도로에서 25톤 탱크로리차량(염산 35%) 옆면이 파공되면서 염산이 누출된 사고 탱크로리가 도로 운행 중 가드레일과 충돌하여 탱크로리 옆면의 손상(약 2cm 크랙 발생)
70 염산 운반차량 전복사고,염산 운반차량,염산(Hydrochloric acid),,염산 운반차량 2005-06-13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순천간 국도 17호선 인명피해 : 사망 1명, 재산피해 : 탱크로리 파손 염산(Hydrochloric acid), 염산 운반차량 율촌 산업단지 진입로 내리막길에서 이크 열로 탱크로리가 복되면서 화재발생 염산(25톤) 브레이크 파열로 인한 차량전복 사고 사고차량 운기사는 병원으로 후송과 사고차량의 염산을 지원차량으로 이하여 이송함 차량의 안전관리 소홀
71 위험물 차량 화재사고,이동시설(유사휘발유, 톨루엔(800ℓ), 솔벤트(1,200ℓ) , 2.5톤 냉동탑차(차량) 2006-07-28 13:00:00 / 광주광역시 북구 소재 이면도로 2.5톤 냉동탑차에 유사휘발유 제조시설을 만들어 놓고 톨루엔(800ℓ)와 솔벤트(1,200ℓ)를 혼합하여 유사휘발유를 제조하던 0.5마력의 양수기모터에서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함 양수기 모터에서 발생한 스파크(추정) 현장 근로자는 안전지역으로 대피, 유사휘발유 제조련자는 석유판매업법 위반으로 구속조치 위험물안전관리법, 석유판매업법 등 관련법령 위반. 유사휘발유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관리와 불법적인 행위에 한 철저한 단속이 필요함
72 톨루엔 운반 탱크로리 전복사고,이동시설(탱크로리),톨루엔,톨루엔 운반 탱크로리(21톤 카고-운반수량 : 23,500ℓ) 2006-11-18 22:08:00 / 충청남도 천안시,아산시 도로 톨루엔 경기도 화성시 OO산업 소속 위험물 탱크로리를 운자가 음주상태에서 운행하던 중 운부주의로 차량이 도로 옆으로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 톨루엔 약 8,000ℓ가 유출 운자의 음주운전, 운전 부주의 유출된 톨루엔의 확산을 방지하고 수거작업을 실시 운전자의 안전운전 의식 결여. 운전자에 대한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유해화학물질리법 등에서 규정하는 운송계획서 등을 작성 휴대할 수 있도록 조치
122 평택시 청북읍 도로상 포름산 누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06-28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도로상 포름산 200L 누출 50% 수산화나트륨(UN1824, CLASS 8, 부식성 물질) 85% 포름산(UN3412, CLASS 8, 부식성 물질) 카고 트럭의 급정차로 적재 되어있던 포름산(85%) IBC탱크(1.2 톤)의 하부가 앞 적재물 나무파레트에 충돌하여 파손되면서 포름산 약 200L 누출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행 미실시 및 트럭내 적재된 화물의 고박(고정)작업 미비로 추정
126 부산 신항 인근 크레졸 누출 사고(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11-12 / 경남 창원시 부산 신항만 인근 물류창고 m-크레졸 약 11kg 누출 크레졸(UN2076, CLASS 6.1/8, 부식성 및 독성물질) 사업장 내 당일 입고된 수입 컨테이너 적출 작업 중 적재된 m-크레졸 드럼(200L) 15개 중 1개가 하부 이음새 부분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 약 11kg 누출
109 베이루트 항만 폭발사고,,,,,, 2020-08-14 06:00:00 / 레바논 베이루트 항내 창고 220명 사망, 부상자 6,000명 이상 질산암모늄 추정(UN1942, CLASS5.1, 산화성 물질) 베이루트항 내 창고에서 원인불명의 2차례 폭발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항구에 있던 대부분의 창고 및 항만시설 등의 파괴되어 국가적 피해가 발생 2013-11부터 장기간 질산암모늄(약 2,750톤)이 보관 중이던 창고 인근의 다른 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고온 및 가연성 물질에 취약한 질산암모늄에 영향을 끼치면서 질산암모늄으로 인한 대형 폭발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 질산암모늄은 과도밀폐, 오염, 또는 근접 폭굉 등의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음 폭발 위험성이 있는 대량의 질산암모늄을 장시간 안전관리 없이 보관하여 대형사고를 초래
125 천안 5산단내 탱크로리 과산화수소 누출 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06-02 / 경기도 천안시 동남구 5산단 소재 사업장내 과산화수소 4~5톤 가량 누출(인명피해는 없음) 54% 과산화수소(UN2014, CLASS 5.1/8, 산화성물질/부식성물질) 사업장 내 저장시설로 이송하기 위해서 정차 된 탱크로리(20톤)에서 이상반응으로 탱크로리 상부 파열판이 파손되면서 적재되어 있는 과산화수소(54%) 4~5ton 누출 탱크로리에 적재되어 있던 과산화수소의 압력상승*으로 파열판 작동압력까지 다다른 것으로 추정* 과산화수소의 분해로 인한 압력상승방지를 위한 안정화 등의 조치 미비로 추정
127 대구 도로상 붕불산 누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2-02 / 대구시 달서구 도로상 붕불산(FLUOROBORIC ACID) 20리터 가량 누출(인명 및 재산 피해 없음) 붕불산(FLUOROBORIC ACID), UN1775, 제8급 부식성 물질 대구시 도로상에서 붕불산을 실은 운반차량이 급정지하며 적재되어 있던 붕불산 용기(25L) 1통이 파손되어 도로상 바닥에 약 20L 누출
117 2021년 국내 화학물질의 운송 중 사고현황(*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국내 도로 운송 중 운송차량에서의 사고 부상 3명, 수계 유입 1건 염산 6건, 황산 3건, 수산화나트륨 2건, 과산화수소 2건, 메탄올, 암모니아(가스), 포름산, 기타물질 각 1건 2021년 화학물질 관련 사고는 총 92건이며 그 중 운송차량 사고는 17건(전체사고 대비 약 20%) 탱크로리(이동식 탱크)의 결합으로 인한 누출 12건, 고박불량/운전 부주의(제품 충격/낙하 발생)로 인한 누출 5건 운송차량의 고박불량, 운전 시 부주의, 탱크로리의 결함가 원인으로 사전 안전조치가 부적절하였음
101 2015년톈진항 폭발사고 ,고정시설 텐진항,수출입 제품, 2015-08-12 23:30:00 / 중국 동북부 톈진시 빈하이 신구 탕구항 물류창고 114명 사망, 698명 부상 시안화나트름(약 700톤), 질산암모늄, 질산칼름, 탄화칼슘 등 2015-08-13 소방차와 구급차 100여대 출동 화재진압 및 부상자 후송, 추가폭발위험성으로 구조작업 일시 중단 8.14(금) 사고현장 주변 하수도에서 시안화나트름 검출 생화학부대 구조현장 투입 - 폭발과정에서 유출된 톨루엔, 클로로포름, 에틸렌옥사이드 등에 의해 일시적인 자극적 냄새 발생, 당시 안전한 농도로 저감상태 발표 - [톈진 환경보호국] 8.15(토) 7~8차례 폭발음, 불꽃 및 연기 관측, 사고현장 내 시안화나트름 유출 확인 11:00 폭발지점 반경 3km이내 인력 긴급 소개령 발령(핵심구역에서 3krn 이내에 있는 인원은 신속하게 철수, 둥하이루 3km 범위 내 차량과 사람이 있어서는 안됨) 시안화나트름 제거를 위해 과산화수소 다량 살포(독성 약화를 위한 사전조치 실시) NaCN + H2O2 나 NaCNO + H2O 8.16(일) 사고현장내 시안화나트륨회수 작업 8.18(화) 인명피해 집계 사망 114명, 실종 70명, 부상 698명 물류창고 내 최소 700톤의 시안화나트름 및 질산암모늄(폭탄원료), 질산칼슘(화약, 성냥원료), 탄화칼슘(아세틸렌 원료) 보관 최초 야적 컨테이너에서 화재발생, 화재진압과정 중 1차 폭발 * 화재진압시 소방용수와 탄화칼슘 반응 아세틸렌 형성, 폭발 추정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관리기준 필요 물질 특성을 고려한 화재 진압 및 방제방법에 대한 대비 필요화학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독성가스 확산 방지 대책 요구 불길이 다른 창고로 번져 2차폭발 발생 * 아세틸렌 폭발이 질산암모늄 폭발로 연쇄반응을 일으켰을 가능성 존재 시안화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시안화수소(독성가스) 발생
102 구미 h 사 불하수소 누출사고 2012-09-27 15:43:00 / 구미 국가산업단지 내 (주)휴브글로벌 5명 사망, 18명 부상, 농작물 212ha, 가축 3943두 피해 불산(불화수소 약 8톤) 불산 적재 탱크로리(20톤)에서 공장 저장탱크로 이송작업 도중 작업자부주의로 인해 불산(불화수소) 8톤 누출 화학사고에 대한 국민의 관짐과 우려가 커졌으며, 화학사고 예방 대비 대응체계 개선 및관련 법 처벌 강화 작업시 개인보호구 착용의 중요성 순서 무시 불화수소 및 공기배관 맹판 모두 개방 불화수소 이송용 밸브 볼밸브이 며, 조작 손잡이 레버 형태로 작업자 무게에 의해 손잡이가 젖혀져 밸브개방 누출 불산 누출시 전혀 보호가 되지 않는 작업자 작업복 상태에 일반적 인 방진마스크 착용으로 작업자 모두 사망
103 경기 시화공단 00공장 독성가스 누출사고 2006-08-17 / 경기도시흥시시화공단(주)알티 72명 부상(중독증상) 염산, 염소산나트름염소 염소산나트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염소산나트름(40 50kg)을 염산탱크(600L)에 잘못 연결하여 저장탱크 내의 물질과 주입물질간의 화학반응으로 독성가스 발생 및 누출 유독물 주입구에 내용물 표기와 설치상태가 미흡하여 신규작업자 연결구를 숙지하지 못하고 염산 저장탱크에 염소산나트름을 연결하여 주입 유해화학물질 상하차 작업시 반드시 유해화학물질관리자가 참여하도록 규정 「화학물질관리법」제13조(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104 시흥 불산 적재 컨테이너 전복사고 2013-05-18 08:00:00 / 사고장소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1692번지 무진아파트 인근도로상 인명피해 없음 불산(55%) 약 40L 유출 (주)로직스에서 불산 드럼(230L 용기, 80개, 18톤) 컨테이너 차량으로 이송 중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면서 차량이 전복되어 불산(55%) 약 40L 누출 사고지점 이 대규모 아파트 단지 앞 도로 상으로 불산 유출로 인근 주민 대피 사고초기 컨테이너 내부 용기 파손 파악이 어려움 트레일러를동원하여 컨테이너 차량 이송 잔류불산처리를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움
105 금산 불산 누출사고⑴ 2014-08-24 09:10:00 / 금산군 군북면 조정리 (주)램테크놀러지 제2제조소 하역장 작업자4명, 벌초주민 3명 검진 귀가 사업장 주변 식생 고사(약 9500m 지 역) 무수불산(불화수소) 약 10kg 보관 저장 창고에서 작업자 2명이 이동형 탱크로리 교체 후 국소배기설비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원료 공급배관 밸브를 열어 액체상 무수불산이 역류하여 누출 금산군청(종전 유해화학물질관리 법): 유독물 관리기준 위반 고발 및 영업정지 1개월, 사고미신고(과태료 100만원 부과 및 경고) 대전지방고용노동청(산업안전보건법) : 제2,3제조소 불화수소 하역장 관련시설 가동중지, 특별지도 5일
99 불화수소 하역작업 중 누출사고,이동식 탱크컨테이너,불화수소,탱크 컨테이너 하역장,이동식 탱크컨테이너,불화수소,탱크컨테이너 하역장,이동식 탱크컨테이너,불화수소,하역장 2014-08-24 09:10:00 / 충남 금산군 근로자 4명및 벌조작업 주민 3명 불화수소 - 사고당일 07시경 불화수소 탱크 컨테이너(Tank Container) 입고 - 08:30경 탱크 컨테이너에서 불화암모늄 생산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연결 - 09:10경 배관연결 직후 탱크 컨테이너 밸브를 개방하는 순간 국소배기장치 플렉시블 호스에 연결된 후드로 누출되자, 작업중이던 근로자 2명이 일단 대피함(내산복 및 방독마스크 착용상태에서 작업) ※ 누출량: 약 4.0 kg(사업장 추정치) - 09:15경 완전 불화수소 탱크 컨테이너에서 불화수소를 생산공정으로 이송 시 탱크 컨테이너 배기용 밸브는 열고 공정투입용 배관에 설치된 스크러버 밸브(밸브①)는 차단한 상태에서 하역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나 이를 준수하지 않고 하역작업을 실시하여 국소배기장치 후드로 불화수소 누출(② 지점) 작업 근로자에게 작업절차, 위험물질 종류, 특성, 취급시 주의사항(MSDS) 및 비상시 조치요령 등에 대한 교육훈련실시 불화수소 탱크 컨테이너에서 불화수소를 생산공정으로 이송 시 탱크 컨테이너 배기용 밸브는 열고 공정투입용 배관에 설치된 스크러버 밸브(밸브①)는 차단한 상태에서 하역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나 이를 준수하지 않고 하역작업을 실시하여 국소배기장치 후드로 불화수소 누출(② 지점)
111 2020년 국내 화학물질의 운송 중 사고현황(*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년 / 국내 도로운송 중 염산(9건), 황산(2건), 액화염소(1건), 디클로로메탄(1건), 수산화테트라암모늄(1건), 그외 1건 2020년 화학물질 관련 사고는 총 75건이며 그 중 운송 관련 사고는 총 15건(총 사고건의 20%) 탱크로리의 결함 10건, 고박불량 및 전도로 인한 낙하 5건(사고유형은 유출 14건, 화재 1건) 위험물 적재차량은 운행 전 부속장치 및 위험물 수납상태에 대한 안전점검이 필요 -
106 금산 불산 누출사고 (2) 2016-06-04 18:00:00 / 금산군 군북면 조정리 (주)램테크놀러지 사업장 인근 조정리 주민 대피 및 불편호소 주민 병원진료 불산 약 1톤 유출, 불화수소 약 32.7kg 2016-06-04(토), 18:02 사고발생(CCTV 확인결과 하역장 내부에서 fume 발생) 18:20 방제작업실시 18:34 119신고(지 연신고) 18:48 안전원 사고접수 18:54 사고상황 파악및물질정보 제공 18:55 마을주민대피방송실시 19:10 CARIS 확산평가제공 19:30 마을주민 108명 군북초로 대피(일부 주민 병원 후송) 19:51 금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안전원 현장 도착 20:00 사고지역 농도 측정 및 모니터링 (최초 하역장 외부 불검출/내부 llppm, 사고지점 남/북 200m 지점 불검출) 23:10 주민대피 해제(사고현장 주변 불산 불검출), 6.8(수),09:00 지역주민(30여명)전원귀가 불산을 IBC탱크*(lm , 1,100kg)에서 필터(Filter)를 거쳐 탱크로리로 이송 하던 중 필터에 설치된 파열판(Rupture Disk) 깨져 후단을 통해 불산이 인접 하역장 집수조(Pit)로 유입되었음집수조 유입량이 증가하면 자동으로 작동해야 하는 이송펌프가 작동하지 않아 불산이 집수조와 트렌치 상부면을 따라 월류(Overflow)되면서하역장 외부로 유출됨. - 불산 취급시설 파열판 후단연결 부적절 - 집수조 액위 관리 및 펌프관리 미흡 -필터하우징 설치위치 부적절 및 관리 미흡 불산 누출사고 및 과거 수질오염사고 등4차례 재발사업장이 되었고, 빈번한 사고발생으로 지역주민의 업체에 대한 불신과 불안호소로 공장 이전 또는 폐쇄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음 화학사고 발생시 여러 관련 기관들이 사업장에 대한 전면조사(점검) 및 행정처분 동반 14년 사고 후 해당 사업장은 하역장 불화수소 취급사업장 시스템 및 하역장 외부유출차단을 위한 시설개선(셔터, 긴급차단 밸브, 배기시설, 방재시설)을 15년에 완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의 취약점이 여실이 들어남
107 염산 운반 차량 유출 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02-05 / 울산시 울주군 인명 피해 없음 염산(UN1789, CLASS8, 부식성 물질) 염산을 운반하던 탱크로리 차량이 상부 덮개를 완전히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하여 차량 진동 등으로 인해 염산이 약 20 L 누출 충전 후 탱크 상단의 덮개를 완전히 체결하지 않아 운반 중의 진동으로 인하여 염산이 누출
112 진도 도로 운송 중 염산 용기 유출 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02-05 / 진도군 18번 국도 도로상 염산 40리터 유출(인명피해 없음) 염산(UN1789, CLASS8, 부식성 물질) 염산 용기(20 L) 180개를 운반하던 차량 적재함이 개방되면서 도로상으로 낙하되어 용기 3개가 파손된 사고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음
113 금왕휴게소 황산 유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07-10 / 충남 음성군 금왕읍 금왕휴게소 (평택방면) 황산 20리터 가량 유출(인명피해 없음) 황산 98%(UN1830, CLASS8, 부식성 물질) 금왕휴게소 평택방면 주차장에서 황산 탱크로리(24ton) 차량의 운반자가 차량점검 중 차량 하부 배관 용접부에서 황산(98%)이 소량(20L 추정) 누출된 사고 운행 전 차량(탱크로리) 점검 미비
114 여수산단 인근 도로상 염산 유출 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08-30 / 전남 여수산단 인근 도로상 소량의 유출 발생 염산(UN1789, CLASS8, 부식성 물질) 도로상에 정차 되어 있는 염산(35%) 탱크로리(23 톤) 차량의 플렉시블 호스 마개 결합불량으로 소량의 흄(Fume)이 발생 탱크로리 내 호수 마개의 결합 불량
116 진영휴게소 염산 유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0-09-20 / 진영휴게소(부산방향) 염산 약 20L 유출 염산(UN1789, CLASS8, 부식성 물질) 진영휴게소(부산방향) 내 정차 중이던 탱크로리의 적재함 후단 중간부에 4~5 cm의 균열이 발생하여, 저장 중이던 염산(35%)이 누출된 사고 탱크로리의 적재함의 결함으로 인한 균열로 염산 유출
118 화성시 암모니아 가스 누출사고 (출처: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2021-10-26 / 서해안고속도로 화성인근 암모니아 가스 10kg 가량 누출 암모니아 가스(UN1005, CLASS2.3/8, 독성가스/부식성 물질) 암모니아 가스용기를 운반 중인 5ton 차량에서 누전으로 발화되어,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한 압력 상승으로 25kg 가스용기 5개의 안전밸브에서 암모니아 누출, 현장 수습 후 제조업체로 다시 이송하여 처리하는 과정 중 암모니아 추가 누출된 사고 차량에서 발생한 누전이 사고 원인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ML JSON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오픈API 정보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로 api형식의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서비스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_20231231
분류체계 교통및물류 - 물류등기타 제공기관 해양수산부
관리기관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 관리기관 전화번호 1566-0025
보유근거 수집방법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주기 월간 차기 등록 예정일 2025-08-25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33
확장자 XML, JSON 활용신청 0
데이터 한계 키워드 운송,위험물,사고
등록일 2024-06-22 수정일 2024-09-02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해양수산부_수출입위험물안전관리_사고 정보(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_Export and Import Dangerous Goods Safety Management_Accident Information)로서 시스템상 수집된 사고정보를 표현
기타 유의사항 공란사유: 데이터미집계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Swagger UI
Error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이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