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라며,
데이터 자체에 대한 문의는 아래 제공기관의 관리부서 전화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 해양경찰청(해양경찰서)으로 신고, 접수 된 해양오염사고의 상세데이터이다. (발생해경서, 일시, 장소, 경위도, 오염원구분, 발생개요, 물질명, 유출량 등) * 유출량1,2,3의 단위는 리터(L)
2. 유출된 오염물질 종류 및 유출량은 최대 3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간(‘19∼’23) 유형별 현황 > ○ (총 괄) 총 1,288건 발생, 1,680.6㎘ 유출(연 평균 258건, 336.1㎘ 유출) ○ (원인별) 건수는 ‘부주의’(452건, 35.1%), 유출량은 ‘해양사고’(1,406.1㎘, 83.7%)가 최다 - (건수) 부주의(452건, 35.1%) > 해양사고(32.2%) > 파손(25.6%) > 고의(4.5%) > 미상(2.6%) - (유출량) 해양사고(1,406.1㎘, 83.7%) > 파손(9.7%) > 부주의(4.8%) > 고의(1.7%) > 미상(0.1%) ○ (오염원별) 건수는 ‘어선’(550건, 42.7%), 유출량은 ‘기타선’(860.4㎘, 51.2%)이 최다 - (건수) 어선(550건, 42.7%)>기타선(24.4%)>유조선(10.9%)>화물선(9.9%)>육상(9.5%) >미상(2.6%) - (유출량) 기타선(860.4㎘, 51.2%)>어선(24.1%)>화물선(14.6%)>육상(6%)>유조선(4%)>미상(0.1%) ○ (해역별) ‘남해’ 해역이 건수(510건, 39.6%) 및 유출량(886.8㎘, 53.1%) 모두 최다 - (건수) 남해(510건, 39.6%)>서해(26.5%)>중부(15%)>동해(11.5%)>제주(7.4%) - (유출량) 남해(886.8㎘, 52.8%)>서해(25.2%)>제주(11.2%)>중부(5.6%)>동해(5.2%) ○ (물질별) ‘경질유’가 건수(524건, 40.7%) 및 유출량(1,080.7㎘, 64.3%) 모두 최다 ○ (유출량) ‘1㎘ 미만’사고건수(1,184건, 92%)가 최다
기타 유의사항
해양오염사고 : 선박, 해양시설 등으로부터 기름, 폐기물, 유해액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해양으로 유출된 사고 / 해양사고 : 충돌, 침몰, 화재 등으로 인한 오염사고 / 부주의 : 유류이송 등 인적과실로 인한 오염사고 / 고의 : 해양오염이 발생할 것을 인식하면서 행위를 하여 발생한 오염사고 / 파손 : 기기 등 파손으로 인한 오염사고
1. 해양경찰청(해양경찰서)으로 신고, 접수 된 해양오염사고의 상세데이터이다. (발생해경서, 일시, 장소, 경위도, 오염원구분, 발생개요, 물질명, 유출량 등) * 유출량1,2,3의 단위는 리터(L)
2. 유출된 오염물질 종류 및 유출량은 최대 3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간(‘19∼’23) 유형별 현황 > ○ (총 괄) 총 1,288건 발생, 1,680.6㎘ 유출(연 평균 258건, 336.1㎘ 유출) ○ (원인별) 건수는 ‘부주의’(452건, 35.1%), 유출량은 ‘해양사고’(1,406.1㎘, 83.7%)가 최다 - (건수) 부주의(452건, 35.1%) > 해양사고(32.2%) > 파손(25.6%) > 고의(4.5%) > 미상(2.6%) - (유출량) 해양사고(1,406.1㎘, 83.7%) > 파손(9.7%) > 부주의(4.8%) > 고의(1.7%) > 미상(0.1%) ○ (오염원별) 건수는 ‘어선’(550건, 42.7%), 유출량은 ‘기타선’(860.4㎘, 51.2%)이 최다 - (건수) 어선(550건, 42.7%)>기타선(24.4%)>유조선(10.9%)>화물선(9.9%)>육상(9.5%) >미상(2.6%) - (유출량) 기타선(860.4㎘, 51.2%)>어선(24.1%)>화물선(14.6%)>육상(6%)>유조선(4%)>미상(0.1%) ○ (해역별) ‘남해’ 해역이 건수(510건, 39.6%) 및 유출량(886.8㎘, 53.1%) 모두 최다 - (건수) 남해(510건, 39.6%)>서해(26.5%)>중부(15%)>동해(11.5%)>제주(7.4%) - (유출량) 남해(886.8㎘, 52.8%)>서해(25.2%)>제주(11.2%)>중부(5.6%)>동해(5.2%) ○ (물질별) ‘경질유’가 건수(524건, 40.7%) 및 유출량(1,080.7㎘, 64.3%) 모두 최다 ○ (유출량) ‘1㎘ 미만’사고건수(1,184건, 92%)가 최다
기타 유의사항
해양오염사고 : 선박, 해양시설 등으로부터 기름, 폐기물, 유해액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해양으로 유출된 사고 / 해양사고 : 충돌, 침몰, 화재 등으로 인한 오염사고 / 부주의 : 유류이송 등 인적과실로 인한 오염사고 / 고의 : 해양오염이 발생할 것을 인식하면서 행위를 하여 발생한 오염사고 / 파손 : 기기 등 파손으로 인한 오염사고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 해양경찰청(해양경찰서)으로 신고, 접수 된 해양오염사고의 상세데이터이다. (발생해경서, 일시, 장소, 경위도, 오염원구분, 발생개요, 물질명, 유출량 등) * 유출량1,2,3의 단위는 리터(L)
2. 유출된 오염물질 종류 및 유출량은 최대 3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간(‘19∼’23) 유형별 현황 > ○ (총 괄) 총 1,288건 발생, 1,680.6㎘ 유출(연 평균 258건, 336.1㎘ 유출) ○ (원인별) 건수는 ‘부주의’(452건, 35.1%), 유출량은 ‘해양사고’(1,406.1㎘, 83.7%)가 최다 - (건수) 부주의(452건, 35.1%) > 해양사고(32.2%) > 파손(25.6%) > 고의(4.5%) > 미상(2.6%) - (유출량) 해양사고(1,406.1㎘, 83.7%) > 파손(9.7%) > 부주의(4.8%) > 고의(1.7%) > 미상(0.1%) ○ (오염원별) 건수는 ‘어선’(550건, 42.7%), 유출량은 ‘기타선’(860.4㎘, 51.2%)이 최다 - (건수) 어선(550건, 42.7%)>기타선(24.4%)>유조선(10.9%)>화물선(9.9%)>육상(9.5%) >미상(2.6%) - (유출량) 기타선(860.4㎘, 51.2%)>어선(24.1%)>화물선(14.6%)>육상(6%)>유조선(4%)>미상(0.1%) ○ (해역별) ‘남해’ 해역이 건수(510건, 39.6%) 및 유출량(886.8㎘, 53.1%) 모두 최다 - (건수) 남해(510건, 39.6%)>서해(26.5%)>중부(15%)>동해(11.5%)>제주(7.4%) - (유출량) 남해(886.8㎘, 52.8%)>서해(25.2%)>제주(11.2%)>중부(5.6%)>동해(5.2%) ○ (물질별) ‘경질유’가 건수(524건, 40.7%) 및 유출량(1,080.7㎘, 64.3%) 모두 최다 ○ (유출량) ‘1㎘ 미만’사고건수(1,184건, 92%)가 최다
기타 유의사항
해양오염사고 : 선박, 해양시설 등으로부터 기름, 폐기물, 유해액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해양으로 유출된 사고 / 해양사고 : 충돌, 침몰, 화재 등으로 인한 오염사고 / 부주의 : 유류이송 등 인적과실로 인한 오염사고 / 고의 : 해양오염이 발생할 것을 인식하면서 행위를 하여 발생한 오염사고 / 파손 : 기기 등 파손으로 인한 오염사고
1. 해양경찰청(해양경찰서)으로 신고, 접수 된 해양오염사고의 상세데이터이다. (발생해경서, 일시, 장소, 경위도, 오염원구분, 발생개요, 물질명, 유출량 등) * 유출량1,2,3의 단위는 리터(L)
2. 유출된 오염물질 종류 및 유출량은 최대 3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간(‘19∼’23) 유형별 현황 > ○ (총 괄) 총 1,288건 발생, 1,680.6㎘ 유출(연 평균 258건, 336.1㎘ 유출) ○ (원인별) 건수는 ‘부주의’(452건, 35.1%), 유출량은 ‘해양사고’(1,406.1㎘, 83.7%)가 최다 - (건수) 부주의(452건, 35.1%) > 해양사고(32.2%) > 파손(25.6%) > 고의(4.5%) > 미상(2.6%) - (유출량) 해양사고(1,406.1㎘, 83.7%) > 파손(9.7%) > 부주의(4.8%) > 고의(1.7%) > 미상(0.1%) ○ (오염원별) 건수는 ‘어선’(550건, 42.7%), 유출량은 ‘기타선’(860.4㎘, 51.2%)이 최다 - (건수) 어선(550건, 42.7%)>기타선(24.4%)>유조선(10.9%)>화물선(9.9%)>육상(9.5%) >미상(2.6%) - (유출량) 기타선(860.4㎘, 51.2%)>어선(24.1%)>화물선(14.6%)>육상(6%)>유조선(4%)>미상(0.1%) ○ (해역별) ‘남해’ 해역이 건수(510건, 39.6%) 및 유출량(886.8㎘, 53.1%) 모두 최다 - (건수) 남해(510건, 39.6%)>서해(26.5%)>중부(15%)>동해(11.5%)>제주(7.4%) - (유출량) 남해(886.8㎘, 52.8%)>서해(25.2%)>제주(11.2%)>중부(5.6%)>동해(5.2%) ○ (물질별) ‘경질유’가 건수(524건, 40.7%) 및 유출량(1,080.7㎘, 64.3%) 모두 최다 ○ (유출량) ‘1㎘ 미만’사고건수(1,184건, 92%)가 최다
기타 유의사항
해양오염사고 : 선박, 해양시설 등으로부터 기름, 폐기물, 유해액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해양으로 유출된 사고 / 해양사고 : 충돌, 침몰, 화재 등으로 인한 오염사고 / 부주의 : 유류이송 등 인적과실로 인한 오염사고 / 고의 : 해양오염이 발생할 것을 인식하면서 행위를 하여 발생한 오염사고 / 파손 : 기기 등 파손으로 인한 오염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