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상세

제주특별자치도_제주오름요약설명

제주에 있는 오름 중 90개의 오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들어있습니다. (오름영문명, 오름명, 위치, 비고, 표고, 경도, 위도, 설명 등)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라며,
데이터 자체에 대한 문의는 아래 제공기관의 관리부서 전화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SV
제주특별자치도_제주오름요약설명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파일데이터 정보

제주특별자치도_제주오름요약설명로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파일데이터명 제주특별자치도_제주오름요약설명_20211130
분류체계 문화체육관광 - 관광 제공기관 제주특별자치도
관리부서명 제주특별자치도 디지털혁신과 관리부서 전화번호 064-710-2584
보유근거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수시 (1회성 데이터) 차기 등록 예정일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90
확장자 CSV 키워드 오름,기생화산,한라산
데이터 한계 다운로드(바로가기) 1271
등록일 2021-12-22 수정일 2022-09-19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제주에 있는 오름 중 90개의 오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들어있습니다. (오름영문명, 오름명, 위치, 비고, 표고, 경도, 위도, 설명 등)
기타 유의사항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미리보기

※ 파일 데이터의 일부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 내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오름영문명 오름명 위치 비고(m) 표고(m) 경도 위도 설명 데이터기준일자
abu 아부오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51 301.4 126.777283 33.448875 비고 51m의 원형 화구를 가진 오름이다. 거칠지 않은 산 체와 완만한 탐방로가 있어 여유로운 분위기의 오름이다. 2021-11-30
akkeundalangswi 아끈다랑쉬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58 198 126.8306516 33.47413717 비고 58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잡목들이 거의 없어 그늘을 찾기 어렵지만 짧은 시간 안에 큰 무리없이 탐방이 가능하다. 2021-11-30
albam 알밤오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154 393.6 126.885675 33.480757 비고 154m. 말굽형 형태의 오름. 산체가 밤알을 닮아 알밤오름이라 명칭되었다. 2021-11-30
al 알오름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51 145.9 126.713135 33.489746 비고 51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2021-11-30
andol 안돌오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93 368.1 126.757126 33.455814 비고 93m의 말굽형 형태의 오름이다. 오름 전체에 초지가 있고. 소나무. 청미래덩굴 등이 자생한다. 계절별로 여러 종류의 야생화를 볼 수 있다. 2021-11-30
ansemi 안세미 제주시 봉개동 91 396.4 126.608124 33.467098 비고 91m. 말굽형(북동향) 형태의 오름. 오름 기슭 아래에 있는 샘터를 중심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있는 두 화산체를 두고 안새미와 밧새미라고 부른다. 2021-11-30
baeg-yagi 백약이오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132 356.9 126.7897666 33.43680944 비고 132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예부터 약초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백약이오름이라 명칭되었다. 2021-11-30
balgeun 밝은오름 제주시 한림읍 상명리 43 182.5 126.265854 33.360935 비고 43m의 북향 말굽형 굼부리를 지닌 화산체. 비고도 낮고 규모도 작은 편이다. 2021-11-30
banong 바농오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142 552.1 126.6538018 33.45377549 비고 142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바농은 바늘의 제주 방언을 말하며 과거 오름 주변에 유난히 가시덤불이 많아 명칭되었다. 2021-11-30
bichimi 비치미오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109 344.1 126.76329 33.426395 비고 109m의 말굽형 화산체이다. 2021-11-30
botdol 밧돌오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103 352.8 126.76297 33.460716 비고 103m의 오름. 동쪽 봉우리와 서쪽 봉우리에 바윗돌이 박혀 있고. 양쪽 봉우리 사이 북사면으로 패인 골짜기가 북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룬다. 2021-11-30
cheona 천아오름 제주시 한림읍 상대리 49 133.6 126.298607 33.404919 비고 49m의 말굽형(서남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초낭(참나무)가 많아 붙여진 명칭이다. 2021-11-30
chik 칡오름 서귀포시 상효동 96 271 126.603737 33.283329 비고 96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2021-11-30
daebyeongak 대병악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 132 491.9 126.367577 33.306248 비고 132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소병악과 나란히 위치해있고 크기에 따라 대. 소병악이라 명칭되었다. 2021-11-30
daesusanbong 대수산봉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97 137.3 126.902069 33.438522 비고 97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과거 봉수대 흔적이 어렴풋이 남아있다. 산정부를 제외한 전 사면이 삼나무와 해송으로 숲을 이룬다. 2021-11-30
daewangsan 대왕산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83 157.6 126.872673 33.455917 비고 83m의 말굽형(북서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오름 사면으로 연결된 형세가 왕(王)자 형으로 생겼다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2021-11-30
dalangswi 다랑쉬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227 382.4 126.819862 33.475208 비고 227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오름으로서 갖춰야 할 입지와 환경이 뚜렷하고 규모가 큰 편이다. 당당한 기세와 위엄을 느낄 수 있다. 2021-11-30
dalsanbong 달산봉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87 136.5 126.832405 33.345638 비고 87m의 말굽형(동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산 체는 세 개의 봉우리가 능선으로 연결되어 길게 누워있는 형태이다. 2021-11-30
dang 당오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69 274.1 126.777916 33.468353 비고 69m의 오름.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전체적으로 나직하고 둥그스름한 몸집의 모양이다. 2021-11-30
dangsanbong 당산봉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118 148 126.172981 33.308826 비고 118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동남쪽 사면은 둥그스름하면서 가파르고. 곳곳에 암층이 있다. 2021-11-30
dansan 단산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113 158 126.288719 33.243938 비고 113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2021-11-30
docheong 도청오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70 136.7 126.814339 33.315445 비고 70m의 말굽형(남동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전 사면에 걸쳐 소나무를 비롯한 잡목들이 깊은 숲을 이루고 있다. 2021-11-30
dokjabong 독자봉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79 159.3 126.854477 33.387119 비고 79m의 말굽형(남동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정상부 한 쪽에 봉수대 터가 남아있다. 제주올레 3코스를 지난다. 2021-11-30
dombae 돔배오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36 466 126.668571 33.429062 비고 36m. 원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 돔배는 제주 방언으로 도마를 말하는데 오름 모양새가 도마의 모양과 닮아 명칭되었다. 2021-11-30
dot 돛오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129 284.2 126.8015166 33.48107138 비고 129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비자림 서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374호로서 비자나무 대군락을 이룬다. 2021-11-30
dunjibong 둔지봉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 152 282.2 126.795341 33.502773 비고 152m의 말굽형(남향) 화구를 가진 화산체이다. 소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송과 억새 또한 넓게 분포되어 있다. 2021-11-30
dusanbong 두산봉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101 126.5 126.885353 33.481148 비고 101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이중식 화산체. 동남사면에 이르는 화구륜은 침식되어 절벽을 이루고. 북서쪽 사면에는 풀밭이 평지를 이룬다. 2021-11-30
eodae 어대오름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55 210.5 126.7608417 33.49564978 비고 55m의 말굽형(북서향) 화구를 가진 화산체이다. 2021-11-30
eodo 어도오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73 143 126.307381 33.421005 비고 73m의 말굽형(북향) 화구를 가진 화산체. 경사가 완만하고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있다. 2021-11-30
eunwolbong 은월봉(윤드리오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75 179.6 126.854477 33.46896 비고 75m의 말굽형(북동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남동쪽에 소나무와 삼나무가 조림되어 깊은 숲을 이룬다. 2021-11-30
gabseon-i 갑선이오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83 188.2 126.781845 33.359951 비고 83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껍질을 미처 벗지 못한 매미의 굼벵이와 그 모습이 닮아 붙여진 명칭이다. 2021-11-30
gae 개오름(성읍)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130 344.7 126.772675 33.423016 비고 130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전망권이 괜찮은 편이다. 2021-11-30
gama 가마오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51 140.5 126.246628 33.305321 비고 51m 말굽형(북동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 일제시대 일본군이 주둔했던 곳으로 현재도 인공적으로 파인 수직굴이 존재한다. 2021-11-30
gamnang 감낭오름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45 439.8 126.350502 33.324684 비고 45m의 말굽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 지금은 아니지만. 이전에 오름 주변에 감나무가 많아 지어진 명칭이다. 2021-11-30
gase 가세오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 101 200.5 126.78109 33.331295 비고 101m의 말굽형(남서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오름의 형세가 가세(가위)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2021-11-30
gasi 가시오름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77 106 126.243866 33.247208 비고 77m의 말굽형(남서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오름사면에 가시나무가 많이 자생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2021-11-30
geolin 거린오름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68 298 126.332619 33.304913 비고 68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2021-11-30
geolli 걸리오름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14 123.8 126.815575 33.376331 비고가 14m 밖에 되지 않는 화산체로 오름이라 부르기 어렵지만. 산책로 정비는 잘 되어있다. 2021-11-30
geomun 거문오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112 456.6 126.720299 33.456268 비고 112m의 복합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 제주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오름이다. 넓고 커다란 굼부리와 아홉 개로 이어지는 봉우리가 장관이다. 2021-11-30
geoseunsemi 거슨세미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125 380 126.759544 33.450577 비고 125m의 말굽형(서향) 형태의 오름. 늦가을 은빛 물결의 억새 경관을 볼 수 있다. 2021-11-30
getgeoli 갯거리오름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69 253.5 126.292931 33.376663 비고 69m의 말굽형(서향)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오름의 형세를 두고 개가 꼬리를 끌고 누워있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2021-11-30
geuglak 극락오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64 313.5 126.414978 33.436234 비고 64m의 말굽형(북서향) 화구를 가진 화산체이다. 정상 부근을 비롯해 사면에 걸쳐 소나무가 군락을 이룬다. 2021-11-30
geum 금오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178 427 126.305847 33.35722 비고 178m의 원형(화구호)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타원형의 분화구 내부에는 연중 물이 고이거나 습지를 이룬다. 2021-11-30
gogeunsan 고근산 서귀포시 서호동 171 396 126.514198 33.268082 비고 171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제주 올레 7-1코스 중간 지점 위치해 있다. 억새 군락을 이루고 있다. 2021-11-30
gungdaeak 궁대악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54 238.8 126.823044 33.435707 비고 54m의 복합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전 사면을 따라 삼나무와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2021-11-30
gunsan 군산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 280 334 126.370857 33.251938 비고 280m의 원추형(라바돔)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2021-11-30
idalbong 이달봉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119 488 126.348381 33.363838 비고 119m의 원추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2021-11-30
idari-chotdaebong 이달이촛대봉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86 456 126.347038 33.366447 비고 86m의 원추형 화구를 가진 화산체. 이달봉과 쌍둥이 화산체이다. 유난히 봉긋하게 솟은 봉우리 모습을 촛대에 비유하여 명칭하였다. 2021-11-30
injeong 인정오름 서귀포시 토평동 49 232.5 126.585411 33.283649 비고 49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2021-11-30
jabaebong 자배봉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111 211.3 126.675797 33.299992 비고 111m의 원형 화구를 지닌 화산체이다. 비고가 꽤 높지만 중간 능선을 따라 한 바퀴를 돌아볼 수 있는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있다. 2021-11-30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ML JSON
제주특별자치도_제주오름요약설명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오픈API 정보

제주특별자치도_제주오름요약설명로 api형식의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서비스 제주특별자치도_제주오름요약설명_20211130
분류체계 문화체육관광 - 관광 제공기관 제주특별자치도
관리기관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 관리기관 전화번호 1566-0025
보유근거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수시 (1회성 데이터) 차기 등록 예정일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90
확장자 XML, JSON 활용신청 138
데이터 한계 키워드 오름,기생화산,한라산
등록일 2021-12-22 수정일 2022-09-19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제주에 있는 오름 중 90개의 오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들어있습니다. (오름영문명, 오름명, 위치, 비고, 표고, 경도, 위도, 설명 등)
기타 유의사항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Swagger UI
Error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이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