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창원시_주남저수지스마트스토리텔림제공시스템_주남퀴즈
※ 파일 데이터의 일부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 내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1 | '우리나라 창원에서 열린 제 10회 람사르총회 로고는 무엇을 상징하고 있을까요?' | '2227' | ';;;;;;;;;;;;;;;' | '사람 | 말 | 물고기' | '사람 | 새 | 물고기' | '호랑이 | 나무 | 호랑이 | 새' |
2 | '하늘-땅-물을 이어주는 매개체로 상징되며 | 긴 막대기에 오리·기러기 등 새 조각을 올려놓은 전통 문화재입니다. 나무 | 돌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며 2004년 세계박물관협회가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선정하기도 하였던 이것은 무엇일까요?' | '678' | '2229;;;2230;;;2231;;;;;;;;;' | '하루방' | '고인돌' | '솟대' | '' | '' | '' | '3' | '2' |
3 | '주로 수심이 옅은 습지에서 물고기를 잡는데 쓰이는 도구입니다. 대나무나 왕골을 엮어 만들었으며 | 원시적인 어업형태로 보이지만 많은 나라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이 도구는 무엇일까요?' | '682' | ';;;;;;;;;;;;;;;' | '가리' | '낚시대' | '통발' | '보기4' | '' | '' | '' | '0' | '2016-11-13 20:21:47' |
4 | ' 옛사람들은 ‘이것’이 죽은 이의 영혼을 하늘로 데려다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생각하여 | 흙으로 ‘이것’을 본딴 토기를 만들어 무덤에 함께 넣어주었습니다. 낙동강 중·하루에서 이런 토기가 많이 발견되고 있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 | '2232' | '2233;;;2234;;;2235;;;;;;;;;' | '잠자리' | '오리' | '호랑이' | '' | '' | '' | '' | '1' | '2016-11-24 14:26:22' |
5 | '베트남 하노이 인근 홍강 삼각주에서 오래전부터 벼농사 문화의 일부로 진행되었으며 | 홍수가 난 물속이나 연못에서 다양한 인형 들을 이용하여 어로 활동 | 모내기 | 수확 등 다양한 습지활동을 보여주는 활동은 무엇일까요? ' | '2236' | ';;;;;;;;;;;;;;;' | '수상인형극' | '사자탈춤' | '서커스' | '' | '' | '3' | '3' |
6 | '한 번 짝을 지으면 생명을 다할 때까지 연분을 지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국 전통혼례에 신랑이 백년해로의 서약을 한다는 징표로 나무로 만든 이것을 올려놓습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 '' | '2237;;;2238;;;2239;;;;;;;;;' | '고니' | '원앙' | '기러기' | '' | '' | '' | '' | '3' | '2016-11-24 14:28:14' | '2016-12-27 14:09:07') |
7 | '한국 민화에 자주 등장하는 습지생물로 갈대와 이것을 함께 그려 넣으면 | 그림 제목의 발음이 유사하여 과거 시험에 장원급제하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생물은 무엇일까요? ' | '' | ';;;;;;;;;;;;;;;' | '거북이' | '두루미' | '게' | '' | '' | '' | '' | '2' | '2016-11-24 14:28:55' |
8 | '다음 우표에 나오는 습지생물로 일본에 전해내려오는 우화에 등장하는 동물입니다. 이 동물은 상처를 치료해준 남자와 결혼하여 베를 짜서 은혜를 갚고 있었습니다. 부인이 베짜는 모습을 남편이 보지 못하도록 하였으나 | 결국 남편이 약속을 어겨 멀리 떠나버렸다는 내용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이 생물은 무엇일까요?' | '' | ';;;;;;;;;;;;;;;' | '기러기' | '두루미' | '제비' | '' | '' | '' | '' | '1' | '2016-11-24 14:29:31' |
9 | '우리나라에서 겨울철새를 위해 먹이작물을 심거나 무논(논에 물을 데어줌)을 조성해주는 사업을 가장 먼저 시행한 지역은 어디일까요? ' | '' | ';;;;;;;;;;;;;;;' | '창원주남' | '부산 낙동강하구' | '순천 순천만' | '' | '' | '' | '' | '3' | '2016-11-24 14:30:24' | '2016-12-27 14:10:12') |
10 | '다음 중 주남저수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문화재가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 '' | ';;;;;;;;;;;;;;;' | '천연기념물 제 30호 은행나무' | '삼한.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분요유적인 다호리 고분' | '신석기시대의 합산패총 | 주남돌다리' | '' | '' | '' | '' | '0' | '2016-11-24 14:30:58' |
11 | '주남저수지 인근에 있는 천연기념물로서 마을의 입구에 심으며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여겨지는 나무는 무엇일까요?' | '' | ';;;;;;;;;;;;;;;' | '음나무' | '느티나무' | '동백나무' | '' | '' | '' | '' | '3' | '2016-11-24 14:32:36' | '2016-12-27 14:10:35') |
12 | '세계적으로 보호받고 있는 귀한 새들이 찾아오는 곳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주남저수지의 캐릭터 이름은 무엇일까요?' | '' | ';;;;;;;;;;;;;;;' | '가두리' | '새드리' | '주남이' | '' | '' | '' | '' | '3' | '2016-11-24 14:33:20' | '2016-12-27 14:10:58') |
13 | '옛날에 어부들이 주남저수지에서 물고기를 잡던 방법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 '' | ';;;;;;;;;;;;;;;' | '그물을 쳐서 잡기' | '통발로 잡기' | '독극물로 잡기' | '낚시로 잡기' | '' | '' | '' | '3' | '2016-11-24 14:34:20' | '2016-12-20 05:16:44') |
14 | '고니가 아래 사진과 같이 한 발로 쉬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2206' | ';;;;;;;;;;;;;;;' | '운동을 하는 중이다.' | '물이 차가워서 한 발로 서 있다.' | '원래 다리가 하나이다.' | '' | '' | '' | '' | '2' | '2016-11-24 14:34:47' | '2016-12-20 05:18:31') |
15 | '갈대와 억새의 차이점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 '' | ';;;;;;;;;;;;;;;' | '꽃모양' | '서식처' | '줄기의 마디의 유무' | '잎의 모양' | '' | '' | '' | '2' | '2016-11-24 14:35:16' | '2016-12-20 05:18:53') |
16 | '몸 전체가 물속에 잠겨 생활하는 침수식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 '' | ';;;;;;;;;;;;;;;' | '몸이 부드럽고 미끈미끈하다' | '줄기가 두껍고 단단하다' | '이 깃털 모양이다' | '줄기에 통기조직이 있다' | '' | '' | '' | '2' | '2016-11-24 14:35:44' | '2016-12-20 05:19:52') |
17 | '물고기의 나이는 어떻게 알까요?' | '' | ';;;;;;;;;;;;;;;' | '비늘 개수를 세어본다' | '길이를 재어본다' | '비늘과 이석의 나이테를 세어본다' | '몸무게를 재어본다' | '' | '' | '' | '2' | '2016-11-24 14:36:16' | '2016-12-20 05:20:08') |
18 | '다음은 모두 주남저수지에서 볼 수 있는 물고기입니다. 이 중 외래어종이 아닌 것을 고르세요.' | '' | '2207;;;2208;;;2209;;;2210;;;;;;' | '블루길' | '각시붕어' | '베스' | '떡붕어' | '' | '' | '' | '2' | '2016-11-24 14:36:48' | '2016-12-20 05:23:15') |
19 | '다음은 모두 주남저수지에서 볼 수 있는 물고기입니다. 이 중 저서성(바닥에서 생활하는) 물고기는 무엇일까요?' | '' | '2211;;;2212;;;2213;;;2214;;;;;;' | '동자개' | '붕어' | '참붕어' | '잉어' | '' | '' | '' | '2' | '2016-11-24 14:37:21' | '2016-12-27 14:11:33') |
20 | '물고기는 겉모양에 따라 방추형 | 측편형 | 장어형 | 리본형 | 구형 | 종편형으로 구분되어 진다. 주남 저수지에서 서식하는 다음 물고기들을 몸 형태에 따라 구분해 보세요' | '' | ';;;;;;;;;;;;;;;' | '붕어 - 방추형' | '블루길 - 측편형' | '미꾸리 - 리본형' | '' | '' |
21 | '다음 중 곤충의 겉모습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 | ';;;;;;;;;;;;;;;' |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 '한 쌍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 '세 쌍(6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 '곤충의 날개는 배에 붙어 있다.' | '' | '' | '' | '2' | '2016-11-24 14:39:56' | '2016-12-20 05:26:53') |
22 | '다음 동물 중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살아왔던 생물은?' | '' | ';;;;;;;;;;;;;;;' | '코끼리(포유류)' | '바퀴벌레(곤충류)' | '기러기(조류)' | '침팬지(유인원)' | '' | '' | '' | '2' | '2016-11-24 14:40:24' | '2016-12-20 05:28:28') |
23 | '나비의 일생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입니다. 옳은 것은?' | '' | ';;;;;;;;;;;;;;;' | '알→유충→번데기→성충' | '알→번데기→유충→성충' | '알→유충→성충' | '알→번데기→성충' | '' | '' | '' | '2' | '2016-11-24 14:40:55' | '2016-12-20 05:28:42') |
24 | '수색식물의 서식처에 따른 구분 방법 중 식물체 전체가 물 속에 잠겨서 고착하여 생활하는 식물군은 무엇일까요?' | '2215' | ';;;;;;;;;;;;;;;' | '침수식물' | '추수식물' | '부엽식물' | '부수식물' | '' | '' | '' | '1' | '2016-11-24 14:41:27' | '2016-12-27 00:47:20') |
25 | '다음의 주남 저수지에서 볼 수 있는 어류 중 우리나라 고유종인 것은 무엇일까요?' | '' | '2217;;;2218;;;2219;;;2220;;;;;;' | '잉어' | '가물치' | '각시붕어' | '메기' | '' | '' | '' | '1' | '2016-11-24 14:41:55' | '2016-12-20 05:32:32') |
26 | '다음 설명은 물고기의 어느 기관을 설명하는 것일까요? 어류의 몸통에서부터 꼬리 부분까지 한가운데에 나 있는 일련의 선처럼 보이는 기관을 말한다. 이는 물고기의 감각기관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 물속에서 음파의 탐지나 물의 흐름 변화 등을 어류가 감지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관이다. 보통 한 줄을 가지고 있으며 | 여러 줄을 가진 어류도 있다.' | '' | '2223;;;2224;;;2225;;;2226;;;;;;' | '측선' | '아가미' | '지느러미' | '비늘' | '' | '' | '4' | '0' |
27 | '다음은 주남저수지에서 관찰할 수 있는 곤충의 설명입니다. 어떤 곤충을 설명한 것 일까요? 물속에 사는 수서곤충이다. · 숨을 쉬기 위한 숨관이 있다. · 바늘처럼 생긴 입을 이용하여 먹이를 잡아먹는다. · 암컷은 수컷의 등에 알을 놓고 수컷이 알을 돌본다.' | '' | ';;;;;;;;;;;;;;;' | '나비잠자리' | '게아재비' | '물방개' | '물자라' | '' | '' | '' | '1' | '2016-11-24 14:43:17' | '2016-12-27 14:15:26') |
28 | '수서곤충은 물속에 살기 때문에 독특한 방법으로 숨을 쉰다. 수서곤충이 숨을 쉬는 방법이 아닌 것은?' | '' | ';;;;;;;;;;;;;;;' | '긴 숨관을 물 밖으로 내어 숨을 쉰다.' | '공기방울을 만들어 숨을 쉰다.' | '숨을 쉴 때 물 밖으로 잠시 나와 숨을 쉰다.' | '물고기와 같이 아가미로 숨을 쉰다.' | '' | '' | '' | '1' | '2016-11-24 14:43:45' | '2016-12-20 05:37:39') |
29 |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노래의 제목인 『개똥벌레』는 주남저수지에서도 볼 수 있는 곤충의 이름입니다. 어떤 곤충의 이름일까요?' | '' | ';;;;;;;;;;;;;;;' | '매미' | '무당벌레' | '딱정벌레' | '반딧불이' | '' | '' | '' | '1' | '2016-11-24 14:44:10' | '2016-12-27 14:13:42') |
30 | '주남저수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금쟁이가 물에 떠 있을 수 있는 힘은?' | '' | ';;;;;;;;;;;;;;;' | '중력' | '표면장력' | '운동에너지' | '마찰력' | '' | '' | '' | '1' | '2016-11-24 14:44:35' | '2016-12-20 05:38:11') |
31 | '곤충은 지구상에서 종류가 가장 많은 생물입니다. 곤충이 넓게 번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 '' | ';;;;;;;;;;;;;;;' | '날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몸집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 '수명이 매우 길기 때문이다.' | '도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 | '' | '1' | '2016-11-24 14:45:03' | '2016-12-20 05:38:26'); |
Open API 명세 확인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