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는 247개 중학교 13,379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국어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각각 39.7%, 43.1%, 13.0%, 4.1%로 나타났으며, 수학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17.9%, 43.4%, 26.9%, 11.8%로 나타났다. 영어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은 각각 24.2%, 48.5%, 24.1%, 3.3%로 나타났다.
2019년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는 247개 중학교 13,379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국어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각각 39.7%, 43.1%, 13.0%, 4.1%로 나타났으며, 수학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17.9%, 43.4%, 26.9%, 11.8%로 나타났다. 영어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은 각각 24.2%, 48.5%, 24.1%, 3.3%로 나타났다.
기타 유의사항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건
이용허락범위
공공저작물_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_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 중학교로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2019년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는 247개 중학교 13,379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국어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각각 39.7%, 43.1%, 13.0%, 4.1%로 나타났으며, 수학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17.9%, 43.4%, 26.9%, 11.8%로 나타났다. 영어교과의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은 각각 24.2%, 48.5%, 24.1%, 3.3%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