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상세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 이름, URL, 과명, 학명, 색깔, 개 화시기, 상세내용 등을 제공합니다.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라며,
데이터 자체에 대한 문의는 아래 제공기관의 관리부서 전화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SV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파일데이터 정보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로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파일데이터명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_20230714
분류체계 농림 - 농업·농촌 제공기관 경상북도 성주군
관리부서명 자치행정과 관리부서 전화번호 054-930-6304
보유근거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수시 (1회성 데이터) 차기 등록 예정일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100
확장자 CSV 키워드 야생화,가야산야생화,가야산야생화정보
데이터 한계 다운로드(바로가기) 535
등록일 2020-08-03 수정일 2023-07-17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 이름, URL, 과명, 학명, 색깔, 개 화시기, 상세내용 등을 제공합니다.
기타 유의사항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미리보기

※ 파일 데이터의 일부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 내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연번 이름 URL 과명 학명 색깔 개화시기 상세내용
1 설앵초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48&lan_code=kor 앵초과 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홍자색 5~6월 고산지대의 바위틈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길이는 15cm로 곧게 선다. 뿌리에 모여 나는 넓은 달걀형 잎은 비스듬히 퍼지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의 날개가 된다.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뒤로 말리는 것도 있고 뒷면은 황색 가루로 덮인다. 5~6월에 뿌리에서 자란 긴 꽃줄기 끝이우산 모양으로 갈라져 홍자색 꽃이 핀다.
2 미국쑥부쟁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49&lan_code=kor 국화과 Aster pilosus Willd. 흰색 9~10월 중도국화·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 산지나 들판에 나 있는 길가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20㎝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큰 포기를 이룬다. 줄기의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거칠거칠하고 털이 많이 나며, 줄기는 활처럼 휘어진다. 가지는 줄기와 직립으로 붙고 끝은 종종 처진다. 잎은 길이 3∼10㎝, 나비 3∼8㎝로 줄 모양 또는 줄 모양 피침형(바소꼴)인데, 어긋나고 종종 낫 모양으로 휜다. 뿌리쪽에서 나는 잎은 톱니가 있고 줄기에 나는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나 가장자리에 퍼진 털이 있다. 꽃은 대개 9∼10월에 흰색 혹은 푸른색의 두상꽃차례로 피는데, 가지와 줄기 끝에 많이 달린다.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지금은 한국 중부 지방뿐 아니라 남부 지방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3 매실나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0&lan_code=kor 장미과 Prunus mume Sieb et Zucc. 흰색 4월 매화나무라고도 한다. 낙엽소교목.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 또는 과수로 심는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꽃을 매화라고 하며 열매를 매실(梅實)이라고 한다. 높이 5∼10m이다. 나무껍질은 노란빛을 띤 흰색, 초록빛을 띤 흰색, 붉은색 등이다. 작은가지는 잔털이 나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4∼10cm이다.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나며 잎자루에 선(腺)이 있다. 중부지방에서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붉은색을 띤 흰빛이며 향기가 난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둥근 모양이고 꽃잎은 여러 장이며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수술은 많고 씨방에는 빽빽한 털이 난다. 열매는 공 모양의 핵과로 녹색이다. 7월에 노란색으로 익고 지름 2∼3cm이며 털이 빽빽이 나고 신맛이 강하며 과육(果肉)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꽃말은 ‘고격·기품’이다.
4 만수국아재비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1&lan_code=kor 국화과 Tagetes minuta L. 황록색 5~6월 남아메리카 원산의 1년초. 제주 서귀포와 문경, 영양, 영덕 등 경북 일원에 귀화해 있다. 줄기는 높이 20~100cm,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식물체에서 악취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잎몸은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작은 잎은 5~15개이며, 앞면에는 둥근 반투명한 샘점이 드문드문 있다. 줄기나 가지 끝에 길이 8~14mm, 폭 2~3mm인 황록색의 머리모양 꽃차례가 산방모양을 이루어 5~6월에 핀다. 노란색의 혀꽃은 2~3개, 끝이 얕게 2개로 갈라지며, 대롱꽃은 3~5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흑갈색의 수과로 털이 많고 끝에 가시모양의 갓털이 있다.
5 둥근잎돼지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2&lan_code=kor 국화과 Ambrosia trifida for. Integrifolia Fern 녹색 7~9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며 끝이 갈라져 있지 않고 양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 길이는 6cm 정도이며 밑부분이 점차 넓어져 원줄기를 감싸고 있다. 꽃은 7∼9월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암꽃은 두상화(頭狀花)로 1개 또는 여러 개가 밑부분에 뭉쳐 달린다. 수꽃의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꽃의 포는 뾰족한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길이 6∼12mm의 달걀 모양이며 끝에 돌기가 있다.
6 돌소리쟁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3&lan_code=kor 마디풀과 Rumex obtusifolius L. 담녹색 6~8월 유럽, 아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120cm,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며, 뒷면 맥 위에 원주상 돌기모가 있다. 아래쪽 잎과 근생엽은 장타원형이거나 피침형이고, 긴 엽병이 있으며 길이 20-35cm 정도, 나비 8-15cm 정도의 크기이다. 끝은 둔두 또는 예두이고, 밑은 심장저이다. 경생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엽병이 짧으며, 길이 5-15cm 정도의 크기이고 둔두 또는 예두, 평저 또는 원저이다. 줄기는 60-120cm 정도로 곧게 서며 세로로 골이 있으며, 중간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피며 담녹색이고 계단 모양으로 돌려난 총상화서를 이룬다. 작은 꽃자루는 가늘고 화피보다 길다. 외화피와 내화피는 각각 3개이며 길이 3.5-5mm 정도의 좁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가시모양의 톱니가 여러개 있다. 외화피와 내화피에 싸여 있으며, 열매는 암적색이고 길이 2.5mm 정도의 세모꼴 이다.
7 단풍잎돼지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4&lan_code=kor 국화과 Ambrosia trifida L. 녹색 7~9월 북미에서 귀화한 1년생 잡초. 돼지풀처럼 흔하지는 않다. 줄기는 높이 1~2.5m정도로 자라며 지름 2~4mm로 거친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고 잎몸은 길이나 폭이 각각 20~30cm, 손바닥 같이 3~7 갈래로 갈라지고 양면이 거칠다. 암, 수꽃의 머리모양 꽃차례는 줄기나 가지 끝에 길이 15~20cm의 술모양을 이루며, 위쪽에 20~30개의 수꽃, 아래쪽에 몇 개의 암꽃이 있다. 총포는 돼지풀과 같으나, 길이 5~10mm, 약간 크다.
8 능소화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5&lan_code=kor 능소화과 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ann 주황색 7~8월 중국 원산의 덩굴성 낙엽 관목 또는 교목. 길이 10m 정도에 이르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에서 사원이나 정원에 심고 있다. 줄기에서 흡착근이 발달하여 타물체에 붙으며 기어 오른다. 잎은 마주나고 작은 잎이 5~13인 1회 홀수깃모양겹잎으로 작은 잎은 길이 3~7cm정도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6~7cm정도로 꽃부리는 깔때기모양이며 겉이 등황색, 속이 주황색, 미려하다. 꽃받침은 길이 2~3cm, 털이 없고 중간 정도까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끝이 예리하게 뾰족하다. 수술 4개, 2개는 길다. 암술대는 길이 약 3.5cm, 암술머리는 주걱모양으로 넓어지고 2개로 갈라지나, 꽃이 필 때 아래위로 열려 있으며 만지면 급격하게 닫힌다. 열매는 네모진 삭과이다.
9 눈괴불주머니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6&lan_code=kor 현호색과 Corydalis ochotencis Turczaninov 담황색 8~9월 숲속의 응달이나 습지에서 전국에 걸쳐 자라는 2년초. 국외로는 일본, 시베리아 동부, 오호츠크 연안에 분포. 식물체는 분백색을 띠며 줄기는 모가 지고, 밑부분이 길게 땅을 기거나 곧게 서며 길이 1m정도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몸은 2~3회 3출겹잎으로 작은 잎은 끝이 둥글거나 3개로 갈라질 뿐, 여러 갈래로 가늘게 갈라지지 않으며 잎자루에는 좁은 날개가 있다. 한국산 괴불주머니속 식물 중에서 가을에 꽃이 피는 유일한 종으로 꽃은 8~9월에 핀다. 길이 15~20mm정도로 담황색이며 며느리발톱은 꽃 길이의 1/2 정도, 끝이 점차적으로 가늘어지고 다소 휘어진다. 열매는 긴 도피침형으로 길이 12~15mm정도이며 삭과이다. 씨는 흑자색이며 매끄럽다.
10 난쟁이붓꽃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7&lan_code=kor 붓꽃과 Iris uniflora var. carinata Kitagawa 보라색 5~6월 동쪽으로는 오대산, 설악산, 금강산으로 이어지는 태백 산계와 서부로는 묘향 산맥, 낭림 산맥 이북으로 낮은 산지대의 기슭이나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 국외로는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우수리, 몽골에 분포.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면서 새 그루를 이룬다. 잎은 여러 개 뿌리에서 뭉쳐나며 길이 10~25cm, 폭 3~5mm정도로 선모양이며 끝은 길고 예리하게 뾰족하다. 밑부분에 많은 마른 묵은 잎이 엉켜 있다. 꽃줄기는 길이 약 5cm정도로 곧게 서며, 끝에 통상 1개의 꽃이 달려 5~6월에 핀다. 겉꽃덮이 조각은 3개, 도란형으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지며, 짙은 보라색에 세로로 여러 개의 줄무늬가 있다. 속꽃덮이조각 3개는 비스듬히 곧게 서고 도피침형이다. 수술은 3개, 갈라진 암술대 밑에 있다. 암술대는 끝이 2개로 갈라진다.갈라진 조각의 뒷면이 암술머리이다. 열매는 삭과, 포엽에 둘러 싸여 있으며, 등쪽에서 3개로 갈라진다. 식물 이름은 꽃줄기의 길이가 가장 짧기 때문이다.
11 낙우송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8&lan_code=kor 낙우송과 Taxodium distichum (L.) Richard 자주 4~5월 북아메리카 동남부에서 멕시코에 이르는 지대가 원산지인 낙엽 교목. 우리나라 중부 지방 이남에서 공원이나 정원에 감상수로 흔히 심는다. 원산지에서는 습지나 늪에서 자라며 높이 50m, 지름 3m에 이르고 공기뿌리가 발달한다. 나무껍질은 갈색로 섬유질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길이 1~1.5cm로 송곳모양이고, 짧은 가지에 깃모양으로 달리며 가을에 짧은 가지와 함께 떨어진다. 짧은 가지는 어긋난다. 암, 수 그루의 구별이 없다. 솔방울은 길이 약 2cm이며 둥글다.
12 끈끈이대나물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59&lan_code=kor 석죽과 Silene armeria L. 홍색 6~8월 유럽 원산의 1~2년초. 강가나 바닷가 등에서 야생 상태를 이루나 내륙지 산기슭의 풀밭에서도 자란다. 재배에서 일출하여 귀화 상태를 이루었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30~50cm로 잎과 더불어 털이 없으며 분백색을 띤다. 윗부분의 마디 사이가 갈색이고 끈끈이를 분비하는데, 흔히 개미 같은 작은 곤충이 붙어 있다. 잎은 길이 4~5cm정도로 잎자루가 없고, 밑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꽃은 6~8월에 핀다. 보통 홍색이나 드물게 흰색도 있는데, 지름 1cm 가량이며 줄기 윗부분에 집산 꽃차례를 이룬다. 수술은 10개, 암술대가 3개인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익으면 6개로 갈라진다. 줄기가 대나무 같고 끈끈이를 분비하므로 끈끈이대나물이라고 한다.
13 꽈리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0&lan_code=kor 가지과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ers) Hort. 연한 황색 6~7월 마을 부근, 길가, 밭, 등에서 자라는 다년초. 심어 기르기도 한다. 아시아 원산이기는 하나 자생지가 불분명하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60~90cm로 털이 없다. 잎은 마디마다 어긋나게 2개씩 달리고 잎자루가 짧으며, 잎몸은 길이 5~12cm, 폭 4~9cm정도로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2개의 잎자루 사이에서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짧은 대롱모양이며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꽃부리는 지름 15mm 정도로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며 수평하게 퍼지고, 꽃부리의 대롱부는 좁고 길이 8~10mm이다. 수술 5개와 암술 1개가 있다. 열매는 지름 1.5cm의 액과로 붉게 익으며, 길이 4~5cm의 크게 자란 꽃받침에 완전히 둘러 싸인다.
14 꽃댕강나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1&lan_code=kor 인동과 Abelia grandigolia (Andre) Rehder 흰색, 분홍색 6~10월 높이 50~150cm의 6월에서 11월까지 꽃이 피는 기간이 긴 반록상의 관목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 또는 회색으로 어느 정도 규칙적 또는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져 얇게 벗겨진다. 수는 백색이다. 겨울싹은 길이 2~3mm정도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몇 쌍의 비늘조각에 덮인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다. 꽃은 길이 약 2cm정도로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집산 꽃차례를 이루어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서 핀다. 열매는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익으면 갈색이다. 꽃받침조각은 2~5개, 잔존한다.
15 꽃개회나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2&lan_code=kor 물푸레나무과 Syringa wolfordii Schneider 연한자홍색 7~8월 경남, 경북과 강원도, 황해도 이북으로 높은 산지의 중턱 이상에서 자라는 높이 4~6m의 활엽 관목. 국외로는 중국 동북부에 분포. 나무껍질은 노란빛이 도는 회색, 어린 가지에 껍질눈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는 털이 없고 길이 1~1.5cm이다. 잎몸은 타원형이며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10~16cm, 폭 6~10cm로 끝은 짧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앞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 전체 또는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핀다. 새로 자란 가지 끝에 길이 20~30cm인 대형의 원뿔 꽃차례를 이룬다. 털이 많다. 꽃부리의 길이 15~18mm인 꽃이 다수 조밀하게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3mm정도이며 꽃부리는 짙은 적자색 또는 보라색으로 향기가 있다. 꽃밥은 꽃부리 속에 붙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10~14mm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광택이 있다. 9~10월에 익는다.
16 긴개갓냉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3&lan_code=kor 십자화과 Sisymbrium orientale L. 노란색 4~6월 유럽이 원산인 1년생 초본. 줄기는 높이 30~100㎝로 가지를 많이 치며, 건조하면 흑색이 되고 흰털이 흩어져 있다. 아래쪽의 잎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15㎝에 이르며, 깃꼴(羽狀)로 깊이 갈라지고, 3~5쌍의 열편(裂片)이 있다. 위쪽의 잎은 작고, 측열편은 0~2쌍, 끝쪽 열편은 3각상 피침형, 기부는 극형(戟形)을 이루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4~6월에 핀다. 줄기 끝에서 가지가 비스듬히 생겨서 담황색의 십자형꽃이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룬다. 꽃은 작고 지름 1㎝ 이내이며, 꽃받침은 선상 피침형으로 털이 있고 길이 4~5㎜이다. 꽃잎은 장타원형-도란형, 길이 8-10㎜, 폭 2-3㎜이다. 열매(長角果)는 선형(線形)으로 길이 6~10㎝, 지름 1~1.2㎜, 대개 털이 없고 가지에 비스듬히 달리며, 열매 자루는 길이 4~7㎜, 열매와 거의 같은 굵기이다. 씨는 길이 1㎜, 폭 0.6㎜로 적갈색이다.
17 기생초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4&lan_code=kor 국화과 Coreopsis tinctoria Nutt. 황적색 6~7월 북아메리카 원산의 1년초. 관상용으로 재배하나 흔히 야생화하여 철도변이나 도시 주변의 냇가, 빈터에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줄기는 가늘고 높이 60~120cm, 윗부분에서 여러 갈래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2회 깃모양으로 갈라지며 선모양이다. 줄기나 가지 끝에 지름 3~4cm의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6~7월에 위를 향해 핀다. 총포는 길이 6~7mm, 총포조각은 1~2줄로 배열한다. 둘레의 혀꽃은 길이 7~15mm, 끝이 3개로 갈라지고 위는 황색, 아래는 적자색, 통상 8개가 1줄로 배열한다. 대롱꽃은 자갈색이다. 열매는 가는 긴 타원형으로 갓털이 없다.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18 기생여뀌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5&lan_code=kor 마디풀과 Persicaria viscosa H. Gross 홍자색 6~9월 물가나 습지에서 전국적으로 자라는 1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 우수리, 인도에 분포. 전체에 향기가 있으며, 갈색의 긴 털이나 샘털 또는 샘점이 있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0~120cm로 잎몸은 길이 7~15cm, 폭 1.5~4cm정도이며 난상의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짧게 자루를 이룬다. 턱잎은 칼집모양의 길이 7~15mm, 막질이며 털이 있다. 꽃은 6~9월에 피고 이삭 꽃차례를 이루며 길이 3~5c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길이 2~3mm이다. 꽃잎은 없다.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길이 2.5~3mm인 세모진 수과이며 익으면 흑갈색이다. 식물체에서 향기가 나기 때문에 식물 이름이 기생여뀌이다.
19 광나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6&lan_code=kor 물푸레나무과 Ligustrum japonicum Thunb. 흰색 7월 영남, 호남 지방 난대의 해변 산지나 여러 섬, 제주도 숲속에서 흔하게 자라는 상록 관목. 높이 3~5m에이른다. 국외로는 일본 난대 지방, 대만, 중국 남부에 분포.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어린 가지는 회색으로 작은 알갱이모양의 껍질눈이 뚜렷하다. 잎몸은 질이 두텁고 광택이 있으며, 타원형 또는 난상의 타원형으로 길이 4~8cm, 폭 2~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5~12mm 정도로 때로는 자갈색을 띤다. 새 가지의 겨드랑이에 느슨하게 겹술모양 꽃차례를 이루어 백색의 꽃이 7월에 핀다. 꽃부리는 끝에서 중간 정도까지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 수술대는 꽃부리와 길이가 거의 같다. 암술대는 길이 8~10mm, 꽃부리보다 길게 뻗어있다. 열매는 길이 8~10mm인 타원형의 핵과로 10월에 흑자색으로 익으며, 겨울에도 나무에 달려 있다. 생울타리나 정원수로 흔히 심는다.
20 겹삼잎국화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7&lan_code=kor 국화과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s 노란색 7~9월 산기슭의 풀밭이나 강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북아메리카 원산. 높이가 1∼3m에 달한다. 꽃은 7∼9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두상화가 달린다. 두상화는 노란색이고 지름이 6∼7cm이며 꽃자루가 길고 가장자리에 밑으로 처진 설상화가 1줄로 배열하며 중앙에 녹색을 띤 황색의 관상화가 있다. 잎이 삼[麻]의 잎과 비슷하고 꽃잎이 겹으로 피기때문에 겹삼잎국화라고 한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3∼5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고 분처럼 흰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5∼7개이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21 겹달맞이꽃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8&lan_code=kor 바늘꽃과 Oenothera biennsis L. 황색 6~8월 두해살이풀로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 직립형으로 줄기는 30-120cm로 자란다. 근생엽은 꽃방석같이 퍼지며, 경생엽은 어긋나기한다. 꽃은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황색으로 핀다. 겹달맞이꽃은 큰달맞이꽃과 비슷하지만, 잎의 중앙맥 색깔이 다르다. 달맞이꽃과 큰달맞이꽃은 흰색이고, 겹달맞이꽃은 붉은색이다.
22 개자리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69&lan_code=kor 콩과 Medicago hispida Gaertner 황색 5월 유럽 원산의 2년초로 전국에 분포. 줄기는 밑에서 여러 개 갈라져 비스듬히 서거나, 밑부분은 땅을 긴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은 길이 10~20cm, 폭 7~15mm 정도로 잔개자리보다 길고 긴 타원상이며 상반부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턱잎은 갈라진다. 꽃은 황색으로 10m 이내로 잎겨드랑이에 술모양 꽃차례를 이루어 5월에 핀다. 꼬투리는 2~3회 감기며 지름 5~6mm,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털이 있다. 4~9개의 씨가 들어 있다. 길이 2~2.5mm정도며 황갈색이다.
23 개쑥갓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0&lan_code=kor 국화과 Senecio vulgaris L. 황색 연중 전국에 걸쳐 도시나 농촌의 길가, 빈터에서 흔하게 자라는 유럽 원산의 1~2년생 귀화 식물. 전 세계에 널리 분포. 줄기는 수분이 많고 높이 10~30cm로 털이 있다. 잎몸은 육질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길이 3~5cm, 폭 1~2.5cm정도로 윗면은 짙은 녹색, 광택이 있으며, 잎자루는 없거나 짧고 밑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꽃은 대롱꽃만인 황색의 머리모양 꽃이며, 연중 계속 피며, 길이 약 1cm이다. 총포는 길이 6~8mm, 외부측 총포조각은 끝이 흑색, 삼각상, 내부측 조각은 조밀하게 1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원기둥모양의 길이 1.5~2.5mm정도의 수과로 순백색 갓털은 떨어지기 쉽고 바람에 날린다.
24 감자개발나물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1&lan_code=kor 미나리과 Sium ninsi L. 흰색 7~8월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의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는 다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에 분포. 줄기는 가늘고 속이 비어 있으며 높이 30~80cm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모양은 깃모양겹잎이며 잎자루 밑부분은 잎집으로 줄기를 감싼다. 작은 잎은 길이 2~8cm, 폭 2~10m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생긴다. 땅에 떨어진 살눈은 새식물체로 발달한다. 7~8월에 10~20개의 흰꽃이 줄기나 가지 끝에 겹우산모양 꽃차례를 이룬다. 수술은 5개, 암술대는 2개, 작은 총포조각은 길이 2~4mm정도로 피침형이며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횡단면이 5각형인 분과로 살눈으로 번식한다.
25 컴프리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2&lan_code=kor 지치과 Symphytum officinale L. 보라색, 황백색 6~7월 유럽 원산의 다년초. 흔히 가축의 사료로서 재배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60~90cm로 가지가 갈라지고 좁은 날개가 있으며, 전체에 거센 흰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고 잎몸은 난상 피침형,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잎이 달린 부분이 줄기로 흘러 줄기의 날개를 이룬다. 꽃은 보라색 또는 황백색으로 6~7월에 핀다. 꽃차례의 끝부분은 태엽처럼 감겨서 아래로 처진다. 드물게 흰꽃이 피는 것도 있다. 꽃받침은 짙은 녹색이며 꽃부리는 넓은 대롱모양으로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진다. 수술 5개, 암술 1개, 수술은 꽃부리 안에 붙어 있다. 암술은 꽃밖으로 짧게 뻗어난다. 열매는 4개의 분과이다.
26 삼잎국화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3&lan_code=kor 국화과 Rudbekia laciniata L. 노란색 7~9월 북아메리카 원산인 다년생 귀화 식물. 도시 주변이나 철로가에서 흔하게 자라는 2년초.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는 약 1m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몸은 5~7개로 갈라지고, 뒷면에 털이 없다. 7~9월에 줄기마다 지름 5~6cm의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린다. 혀꽃은 황색으로 10~14개 정도이며 밑으로 처지고, 대롱꽃은 황록색이다. 화탁은 반구형으로 솟아 있으며, 위쪽에 털이 밀생한 주걱모양의 비늘조각이 있다. 총포조각은 2줄로 배열하며 네모지고, 길이 5~6mm, 갓털 같은 돌기가 있다. 삼잎국화란 잎이 3개로 갈라져서가 아니라 삼(대마)의 잎과 비슷한 국화라는 뜻이다.
27 병조희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4&lan_code=kor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heracleifolia DC. 하늘색, 연한보라색 8~9월 전국 산지의 숲가장자리나 응달에서 자라며 암, 수의 꽃이 구별된다. 초본같이 보이는 목본성 낙엽 관목으로 밑부분은 목화한다. 국외로는 일본, 중국에 분포. 줄기는 높이 100~150cm정도로 자라며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잎자루가 있는 3출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6~15cm 정도이며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지고, 양면이 거칠고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 층층으로 돌려나며 위를 향해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조각은 4개로 길이 20~25mm정도며 끝이 예리하게 뾰족하고 심하게 뒤로 젖혀진 종모양이며, 겉에는 흰털이 밀생하나 속은 연한 보라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잔털이 밀생한다.
28 미국가막사리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5&lan_code=kor 국화과 Bidens frondosa L. 노란색 9~10월 북아메리카 원산인 1년생의 귀화 식물. 제주도와 남부 지방의 길가나 습윤지에서 흔하게 자란다. 경인 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줄기는 1.5m정도로 곧게 서고, 네모지며 흑자색을 띠고 거의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잎몸은 털이 없고, 1~2회 깃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3~13c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핀다. 줄기나 가지 끝에 다수의 노란색 머리모양 꽃차례를 이룬다. 연한 노란색의 짧은 혀꽃이 있으나 총포에 싸여 겉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총포조각은 10개 내외, 잎같이 보이며, 화탁에는 비늘조각이 있다. 열매는 편평한 길이 6~7mm의 수과로 끝에 갓털이 변한 2개의 가시모양의 까끄라기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29 봄망초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6&lan_code=kor 국화과 Erigeron philadelphicus L. 흰색, 연분홍색 5~6월 북미 원산의 다년초. 귀화 식물로서 들이나 빈터에 널리 퍼져 있다. 줄기는 높이 30~80cm로 속이 비어 있다. 머리모양 꽃차례는 꽃봉오리일 때 밑으로 처지는 특징이 있다. 뿌리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에도 남아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줄기잎의 밑부분은 줄기를 약간 감싼다. 꽃은 5~6월에 핀다. 꽃차례는 지름 2~2.5cm정도로 흰색 또는 연분홍색이나 흰색의 개체가 많다. 총포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혀꽃은 대롱꽃 둘레에 3줄로 배열한다. 수과는 길이 약 0.8cm, 갓털은 백색 또는 연한 갈색이며 길이 2.5cm 가량이다.
30 뽀리뱅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7&lan_code=kor 국화과 Youngia japonica (L.) DC. 노란색 5~6월 들이나 논둑, 밭둑, 길가, 풀밭 등에서 전국적으로 자라는 높이 20~80cm의 1~2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 동남 아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호주에 널리 분포. 식물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뿌리에서 난 잎은 로제트모양으로 퍼지며, 잎몸은 길이 8~25cm, 폭 2~6cm정도로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잎은 잎몸 밑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5~6월에 피며, 노란색의 지름 8mm 정도인 혀꽃만의 머리모양 꽃차례는 여러 개 조밀하게 산방모양을 이룬다. 총포는 길이 5~6mm, 총포조각은 피침형이며 내외 2줄로 배열한다. 수과는 납작하며, 길이 약 2mm정도로 융기한 능선이 있으며, 갓털은 흰색이며 길이 3~4mm이다.
31 흰씀바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8&lan_code=kor 국화과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 흰색 5~7월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 높이 40∼7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드물게 기는가지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씀바귀보다 조금 더 넓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긴 타원 모양이거나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 잎자루로 이어진다. 잎 가운뎃부분에 깊이 패인 흔적이나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2∼3장으로서 바소 모양이며 밑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5∼7월에 지름 약 15mm의 흰 꽃이 피는데,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7∼9mm, 나비 1∼3mm이며, 바깥조각은 5∼6개로서 달걀 모양이고 안조각은 긴 타원 모양에 8개이다. 열매는 검은빛을 띤 갈색 수과이고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8∼9월에 익는다. 관모는 희고 길이 약 7mm이다.
32 산비장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79&lan_code=kor 국화과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Iljin) Kitamura 적저색 8~10월 산지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전국적으로 자라는 다년초. 울릉도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국외로는 일본에 분포.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약 1m이다. 뿌리에서 난 잎은 길이 11~30cm의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6~7쌍으로 갈라지며 가시가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양면에 잔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핀다. 줄기 끝에 연한 적자색의 머리모양 꽃차례를 이루어 여러 개 위를 향해 달린다. 총포는 길이 25mm 내외, 총포조각은 6줄로 배열, 외부측 조각은 끝이 가시 같다. 암술대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져 밑으로 말리는 특징이 있다. 꽃차례 주변부의 대롱꽃은 결실하지 않으며, 중앙부의 대롱꽃만 열매를 맺는다. 수과는 길이 약 6mm정도이며 갓털은 갈색으로 길이 1~1.5cm이다.
33 개똥쑥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0&lan_code=kor 국화과 Artemisia annua L. 노란색 8~9월 전국에 걸쳐 인가 주변의 빈터나 길가, 강가 등에서 흔하게 자라는 1년초. 유라시아가 원산인 귀화 식물. 전체에 심한 특유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녹색으로 곧게 서고 높이 1m내외이며 털이 없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몸은 3회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조각은 가늘고 폭이 약 3mm정도로 앞면에 가는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핀다. 윗부분의 가지에 대롱꽃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머리모양 꽃차례가 대형의 원뿔모양을 이룬다. 지름은 약 1.5mm정도이며 노란색이다. 총포에 털이 없고 총포조각은 2~3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길이 1mm 미만인 수과이다.
34 솜방망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1&lan_code=kor 국화과 Senecio integrifolius var. spathulatus (Miq.) Hara 노란색 4~5월 전국에 걸쳐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밭둑 등에서 자라는 다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에 분포. 줄기는 높이 20~50cm로 거미줄 같은 긴털이 밀생한다. 뿌리에서 난 잎은 로제트모양을 이루며, 잎몸은 길이 5~10cm, 폭 15~25mm정도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둔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좁아지면서 잎자루 모양을 이룬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몸은 길이 7~11cm, 폭 1~1.5cm로 피침형이며 잎자루가 없다. 꽃은 4~5월에 핀다. 대롱꽃과 혀꽃으로 이루어진 지름 약 3cm의 노란색 머리모양 꽃차례 3~9개가 우산모양으로 줄기 끝에 달린다. 총포는 길이 약 8mm정도로 녹색이며 총포조각은 1줄로 배열한다. 혀꽃은 길이 12~15mm, 폭 2~3mm로 대롱꽃은 길이 약 8mm이다. 수과는 길이 약 2.5mm로 털이 밀생하고 갓털은 회백색이며 길이 7~10mm로 대롱꽃보다 길다.
35 개쑥부쟁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2&lan_code=kor 국화과 Heteropappus meyendorfii (Regel & Maack) Kom. & Klob.-Alisova 자주색 7~8월 구계쑥부장이·큰털쑥부장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한국특산식물로 전국에 분포. 높이 35∼5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며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는데, 밑쪽 잎은 타원형이며 위쪽 잎은 길이 6∼8cm로 바소꼴이며 촘촘히 나고 톱니는 없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엷은 녹색인데, 양면이 모두 거칠고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다. 꽃은 7∼8월에 두상꽃차례를 이루어 가지 끝과 줄기 끝에 핀다. 빛깔은 자줏빛이며 지름 약 3.5cm이다. 포는 3줄로 늘어서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파란빛을 띤 자주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달걀 모양이고 털이 나며 9∼10월에 익는다. 관모는 희거나 붉은빛인데, 관상화의 관모는 짧고 설상화는 길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36 미국미역취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3&lan_code=kor 국화과 Solidago gigantea var. leiophylla Fernald 노란색 8~9월 북아메리카 원산. 도시 주변의 철도가에 크게 무리지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1~2m로 윗부분에서만 가지가 갈라지고, 가지 끝부분 이외는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양면이 껄끄러우며 백록색이며 잎몸은 길이 5~13cm, 폭 1~2cm로 버드나무같고, 가장자리의 상반부에 예리한 잔톱니가 있다. 밑부분은 쐐기모양으로 좁아지면서 짧은 잎자루를 이룬다. 꽃은 8~9월에 핀다. 줄기와 가지에 진한 노란색의 혀꽃과 대롱꽃으로 이루어진 머리모양 꽃차례가 조밀하게 술모양을 이룬다. 끝이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짧게 꽃부리 밖으로 뻗어난다. 총포조각은 3~4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길이 1mm 가량의 수과로 갓털은 길이 약 3mm정도며 백색이다.
37 벌등골나물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4&lan_code=kor 국화과 Eupatoricum fortunei Turczaninov 연한 분홍색 8~9월 각처의 볕이 잘 드는 냇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 제주도와 국외로는 일본, 중국에 분포.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약 1.5m로 자라며 밑부분에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갈라지지 않거나 깊게 3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앞면은 광택이 나고, 길이 8~13cm, 폭 3~5cm로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샘점이 없다. 꽃은 8~9월에 핀다. 줄기 끝에 개의 대롱꽃만으로 이루어진 연한 분홍색의 지름 7~8mm인 다수의 머리모양 꽃차례를 이루어 조밀하게 산방모양으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8mm 내외, 원기둥모양이다. 암술대는 길게 2개로 갈라져 꽃부리 밖으로 뻗어난다. 총포조각은 10개이며 끝이 뾰족하며 2~3줄로 배열한다. 수과는 길이 3mm 정도로 갓털은 백색 또는 연한 갈색이다. 중국에서는 난초라 한다.
38 떡쑥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5&lan_code=kor 국화과 Gnaphalium affine D. Don 노란색 5~6월 밭둑이나 볕이 잘 드는 길가에서 전국에 걸쳐 자라는 2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 인도에 분포.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20~30cm로 식물체는 흰솜털로 덮여 있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주걱모양으로 길이 3~6cm, 폭 5~10m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 말라죽는다. 꽃은 5~6월에 핀다. 노란색의 대롱꽃만인 머리모양 꽃차례가 조밀하게 산방 꽃차례를 이룬다. 총포는 3줄로 배열, 길이 3mm, 지름 3.5mm 정도로서 종모양이며, 중심부에는 양성의 꽃, 둘레에는 수꽃이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0.5mm이며 2.2mm 정도인 황백색의 갓털이 있다.
39 수염가래꽃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6&lan_code=kor 숫잔대과 Lobelia chinensis Lour. 연한 분홍색 6~10월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전국에 걸쳐 자라는 다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 중부, 대만, 인도, 말레이시아에 분포. 식물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밑부분이 땅을 기고, 윗부분은 곧게 서며, 높이는 3~15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길이 1~2cm, 폭 2~4mm로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3~4쌍의 톱니가 있다. 6~10월에 잎겨드랑이에 연한 분홍색 꽃이 1개씩 긴 잎자루에 끝에서 위를 향해 핀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부리는 길이 1cm 정도, 깊게 5개로 갈라지고, 3개는 밑부분, 2개는 위나 좌우로 퍼진다. 꽃밥은 서로 합착하여 암술대를 둘러싸며, 암술머리는 얕게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길이 5~7mm의 삭과이다. 씨는 길이 0.3mm 정도로 넓은 난형이며 적갈색으로 매끄럽다.
40 도라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7&lan_code=kor 초롱꽃과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흰색, 보라색 7~9월 전국에 걸쳐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 식용, 약용으로 재배한다. 국외로는 일본, 중국, 우수리에 분포. 줄기는 높이 40~100cm로 곧게 서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잎은 잎자루가 없고 어긋난다. 줄기 밑부분에서는 마주나거나 돌려난다. 잎몸은 길이 3~7cm, 폭 2~4cm로 긴 난형이며 앞면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7~9월에 줄기 끝이나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백색 또는 보라색 꽃이 1~3개 위나 옆을 향해 핀다. 꽃부리는 지름 4~5cm의 종모양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5개로 갈라진다.
41 소경불알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8&lan_code=kor 초롱꽃과 Codonopsis ussuriensis (Ruper. et Maxim.) Hemsley 자주색 7~9월 경기, 강원도 이북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는 덩굴성의 다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 동북부, 우수리, 아무르에 분포. 더덕과 비슷하나 더덕에 비해 작으며, 뿌리는 덩어리모양이다.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잎몸은 길이 2~4.5cm, 폭 1.2~2.5cm로 난상 타원형이며 뒷면에 흰털이 많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9월에 피고 꽃부리는 지름 2cm 내외로 종모양이며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져 뒤로 젖혀지며 자주색이다. 꽃받침조각은 녹색이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 열매는 삭과로 3개로 갈라지며, 씨는 짙은 갈색으로 날개가 없는 점에서 더덕과 구별된다.
42 호박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89&lan_code=kor 박과 Cucurbita moschata Duchense 노란색 6~9월 북미 대륙 원산이며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품종으로 널리 재배되는 1년생 초본. 줄기는 통상 덩굴이다. 꽃은 크고 황색이며 암, 수의 구별이 있다. 열매는 크기, 모양, 색상 등에 다양한 변화가 있다. 꽃은 일일화, 오전 중에 시들며, 암꽃은 수가 적고 꽃가루는 벌레에 의해 매개되나 물에 젖으면 바로 발아 기능이 상실되므로 이른 아침 인공 수분을 실시하면 낙과를 방지할 수 있다. 줄기 단면은 5각형,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땅을 기거나 덩굴손에 의해 타물체에 얽히어 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심장형 또는 콩팥모양, 얕게 5개로 갈라지고 잎맥을 따라 흰 반점 무늬가 있다. 수꽃은 긴 꽃가루가 있고 꽃받침통은 암꽃에 비해 얕으며, 꽃받침조각은 밑부분이 꽃부리에 밀착한다. 암꽃은 꽃자루가 짧고 꽃밑에 둥근 씨방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윗부분이 다소 잎모양을 이룬다. 열매는 크고 편평하며 세로로 굵은 홈이 있다. 식용으로 사용된다.
43 수박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0&lan_code=kor 아욱과 Hibiscus trionum L. 연한 노란색 7~8월 조로초(朝露草)·미호인(美好人)·야서과(野西瓜)라고도 한다. 중부 아프리카 원산인 귀화식물이며, 한때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였다. 한국의 중부와 남부지방에 분포.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며 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3∼5개로 깊게 갈라진다. 윗부분의 잎은 3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잎은 5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작은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린다. 꽃 밑에 달린 작은포는 11개이며 줄 모양으로 선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녹색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꽃잎의 밑부분은 합쳐진다. 암술머리는 5개이고 열매는 삭과로서 9월에 익으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44 쥐오줌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1&lan_code=kor 마타리과 Valeriana fauriei Briq 분홍색 5~8월 전국 산지의 습한 응달에서 자라는 다년초. 뿌리에 향기가 있다. 줄기는 높이 30~80cm로 마디에 흰털이 있다. 줄기 밑부분에서 뻗는 가지로 번식한다. 잎은 마주나고 잎몸은 깊게 5~7개로 갈라진다. 작은 잎은 긴 타원상의 피침형으로 길이 2~5cm, 폭 7~25mm정도며 가장자리에 2~3쌍의 굵은 톱니가 있다. 5~8월에 줄기 끝에 분홍색의 작은 꽃이 겹우산모양 꽃차례로 밀집하여 핀다. 포엽은 선모양이며 꽃부리는 길이 5~7mm로 가늘고 긴 대롱모양이며 한쪽이 약간 부풀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3개, 길게 꽃부리 밖으로 뻗어있다. 열매는 길이 약 4mm 정도로 피침형 수과로 윗부분에 꽃받침이 깃털로 남아 있다.
45 병꽃나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2&lan_code=kor 인동과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황록색, 자홍색 5월 주로 산지 숲 속에서 자라는 낙엽관목. 한국 특산종으로 전역에 분포한다. 높이 2~3m이다. 줄기는 연한 잿빛이지만 얼룩 무늬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는 거의 없으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는 퍼진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5월경에 병 모양의 꽃이 노랗게 피었다가 점차 붉어지며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은 밑까지 완전히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잔털이 있고 길이 1~1.5cm로서 9월에 성숙하여 2개로 갈라지고 종자에 날개가 있다. 잎에 융모(絨毛)가 있고 꽃가지와 잎자루 그리고 어린 가지에 퍼진털이 있는 것을 흰털병꽃(var. mollis)이라고 한다.
46 백당나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3&lan_code=kor 인동과 Viburum sargentii Koehne 흰색 5~6월 전국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라는 높이 2~3m의 낙엽 관목. 제주도에도 자란다. 국외로는 일본, 중국 중북부, 동북부, 쿠릴, 사할린,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가지는 회갈색이며 껍질눈이 많다. 잎은 마주나고 잎몸은 길이나 폭이 6~7cm로 난상 원형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길이 7~8cm, 폭 2.5~3cm로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갈라지지 않고 톱니가 없는 잎도 있다. 잎자루는 털이 없고 길이 2~2.5cm, 위쪽에 1쌍의 꿀샘과 턱잎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꽃부리는 지름 2~3mm 정도로 흰색이며 깊게 4~5개로 갈라지고 새로 자란 가지 끝에 산방 꽃차례를 이룬다. 지름 5~6mm인 정상의 꽃 주변에는 지름 3cm 정도의 중성인 장식꽃이 돌려난다. 수술은 5개로 꽃부리 밖으로 길게 뻗으며, 꽃밥은 진한 보라색이다. 씨방은 길이 약 2mm 정도로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로 크기는 지름 8~10mm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47 개선갈퀴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4&lan_code=kor 꼭두서니과 Galium trifloriforme Komarov 흰색 7~8월 전국의 산지나 들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 제주도에 분포. 국외로는 일본, 중국 동북부, 중국 북부, 사할린에 분포. 줄기는 네모지고 높이 20~30cm 정도로 가시가 없고 매끄럽다. 잎은 6개 돌려난다. 2개는 턱잎이다. 잎몸은 길이 2~3cm, 폭 7~10mm로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없다. 꽃은 7~8월에 피고, 줄기 끝에 작은 흰꽃이 집산 꽃차례를 이룬다. 꽃부리는 깊게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열매는 2개의 분과가 붙어 있고, 갈고리모양의 구부러진 가시가 밀생한다. 표본을 만들면 식물체는 검게 변한다.
48 긴산꼬리풀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5&lan_code=kor 현삼과 Veronica longifolia L. 하늘색 7~8월 산기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경상남도·경기도·평안북도·함경남도·함경북도 등지에 분포. 전체에 털이 없거나 또는 짧은 털이 흩어져 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1m 이상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3∼4개씩 돌려나기도 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길이 10cm, 나비 2.2cm 정도이다. 7∼8월에 하늘색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피고, 화관은 4갈래이며 수술은 2개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으로 뾰족하다. 포(苞)는 줄 모양이며 꽃대와 길이가 같다. 열매는 삭과(殼果)이다.
49 주름잎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6&lan_code=kor 현삼과 Mazus japonicus (Thunb.) O Kuntze 연한 자주색 5~8월 논둑, 밭둑이나 습지 등에서 전국적으로 흔하게 자라는 1년초. 국외로는 일본, 중국, 대만, 인도에 분포. 줄기는 높이 5~15cm정도로 누운주름잎과는 달리 밑부분에서 가자기 땅을 뻗지 않는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와 함께 길이 2~6cm, 폭 8~15mm정도며 선단부는 둥글고, 좌우에 몇 개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8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에 입술모양의 꽃이 몇 개 술모양 꽃차례로 달린다. 꽃부리의 길이는 10~12mm, 윗입술은 2개,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 윗면에 노란색 반점이 있다. 꽃받침은 대롱모양, 길이 5~10mm, 중간 정도까지 5개로 갈라진다. 곧게 서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뻗지 않으므로 누운주름잎과 구별된다. 열매는 둥근 삭과로 길이 3~4mm이다. 씨는 타원체형, 길이 약 0.3mm, 갈색이다.
50 물꽈리아재비 https://www.sj.go.kr/gayasan/page.do?mnu_uid=1597&lan_code=kor 현삼과 Mimulus nepalensis var. japonica Miquel 노란색 6~7월 제주도와 경기도, 강원도 이남으로 산지의 응달진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 국외로는 일본에도 분포. 줄기는 가늘며 네모지고 털이 없다. 높이는 10~30cm로 잎은 마주나고, 밑부분의 것은 짧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길이 1.5~4cm, 폭 1~2.5cm정도로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몇 개 있다. 꽃은 6~7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옆을 향해 달리고, 꽃자루는 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꽃부리는 길이 10~15mm로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며 안쪽 윗부분에 갈색의 털 같은 돌기가 2개 있다. 꽃받침은 화기에 6~8mm, 과기에 8~12mm, 5개의 날개가 있다. 수술은 길이 약 5mm, 4개, 그 중 2개가 길다. 암술은 1개, 암술대는 길이 약 4mm, 열매는 삭과이며 길이 약 1cm이다.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ML JSON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오픈API 정보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로 api형식의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서비스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_20230714
분류체계 농림 - 농업·농촌 제공기관 경상북도 성주군
관리기관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 관리기관 전화번호 1566-0025
보유근거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수시 (1회성 데이터) 차기 등록 예정일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100
확장자 XML, JSON 활용신청 0
데이터 한계 키워드 야생화,가야산야생화,가야산야생화정보
등록일 2020-08-03 수정일 2023-07-17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경상북도 성주군_가야산야생화도감정보 이름, URL, 과명, 학명, 색깔, 개 화시기, 상세내용 등을 제공합니다.
기타 유의사항
공간범위 시간범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Swagger UI
Error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이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