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주)_원자력 용어집
※ 파일 데이터의 일부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 내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1 | chelate compound | 킬레이트화합물 | 일반적으로 다좌배위자가 배립하여 생긴 화합물을 말한다. 킬리트란 그리스어로 게의집게발이라는 뜻이며 다좌 배위자에 의하여 가위로 잡힌 모양처럼 되어 있으므로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이다. 킬레이트 화합물의 예를 그림에 나타낸다. |
2 | chemical age | 화학적 연령[방사성광물 등의] | 방사성 광물에 대하여 방사화학적으로 추산하여 얻은 나이. 딸원소 또는 동위체의 종류와 양의 비로 산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
3 | chemical analysis | 화학분석 | 물질의 화학적 조직·화학적 구조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알기 위한 조작을 말한다. |
4 | chemical and volume control system(CVCS) | 화학 및 체적제어계통 | 가압수형 원자로에서는 제어봉의 구동 이외에 1차 냉각재 속의 붕산농도를 바꿈으로써 중성자 반응도를 제어하는데 이 제어계를 말한다. 체적 제어탱크(volume control tnak)는 직접 노심 냉각수와 접속되어 있고 또 1차 냉각재의 보유량을 조정하는 작용을한다. 여기서 붕산용액 또는 순수를 이 탱크에 주입함으로써 1차 냉각수 속의 붕산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10B(n,α)7Li 반응으로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큰 10B이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작은 7Li로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연료장전시에는 약2,000ppm으로 연소도의 증가와 함께 농도를 감소시키고 연료교환 시기에 임박해서는 수백ppm으로 붕산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원자로의 반응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제어봉에 의한 제어와 비교하면 노심 내의 위치에 따른 반응도의 상위를 평균화할 수가 있기 때문에 운전제어가 쉬워진다. 그 밖에 로 냉각재의 pH, 용존산소량, 불순물 등을 조절하여 부식을 막게 할 뿐만 아니라, 방사성물질을 정화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
5 | chemical assay | 화학적 검정 | 화학적 분석법에 의한 순도분석·공정관리분석을 일반적으로 화학적 검정이라 한다. 분석치의 정확도 및 정밀도 보다는 관리기준이나 표준시료와의 비교에 중점을 두고 있다. |
6 | chemical bond | 화학결합 | 둘 또는 그 이상의 원자 사이에 어떠한 흡인력이 작용하여 분자를 형성하거나 또는 실험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결합된 상태가 존재할 때 화학결합되어 있다고 말한다. 결합방법에 따라 공유결합·이온결합·수소결합 등이 있다. 화학결합에는 반드시 그에 대응한 에너지가 있으며 결합이 생긴 상태는 결합이 끊어진 상태 보다 그 에너지 몫만큼 안정하다. |
7 | chemical concentrate | 화학정광 | 화학적 처리로 얻은 정광. 특히 우라늄광인 경우는 옐로케이크의 동의어이다. |
8 | chemical concentrator | 화학선광장 | 화학적 처리를 목적으로 한 광석의 품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는 선광장. 정광단계와 직결되어 침출·농집·분리 공정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
9 | chemical decladding | 화학적 탈피복 | 재처리의 전처리공정에서 연료심재로부터 피복재를 제거하는 방법의 일종.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피복재만을 용해하여 연료심재와 분리하는 방법. 화학처리라고도 한다. 사용하는 화학약품은 대상이 되는 피복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다. 현재로서는 폐액이 생기므로 대규모의 재처리시설에서는 별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fuel reprocessing |
10 | chemical dosimeter | 화학선량계(화학광량계) | 방사선으로 인해 생기는 화학반응을 이용해서 조사선량을 측정하는 장치. 종류는 많다. 예를 들면 황산철(I)을 0.8N의 황산에 녹인 용액에 공기 또는 산소를 포화시키고 여기에 γ선을 조사시키면 Fe+2→Fe+3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이 변화량을 측정해서 선량을 산정할 수 있다. 이것을 철선량계라고 부르며 1992년 Fricke가 X선 선량계로 개발하였으므로 Fricke선량계라고도 부른다. 화학선량계는 적은 선량에서부터 물리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까운 대선량에 걸쳐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glass dosimeter |
11 | chemical dosimetry | 화학적 선량측정 | 방사선의 화학작용을 이용하는 선량측정. chemical dosimeter |
12 | chemical energy | 화학에너지 | 물질의 화학결합의 결과 물질 내에 보유되어 있다가 화학반응에 따라 방출되는 에너지. 핵반응에너지에 비해 대략 100만분의 1 정도의 작은 값을 가진다. |
13 | chemical equivalent | 화학당량(당량) | 화학반응에 대한 성질에 따라서 정해진 원소 또는 화합물의 일정량. 산소 7.999(산소 원자의 1/2mol에 상당)와 화합 또는 치환하는 원소의 양. 직접 산소와 화합하지 않는 원소의 화학당량은 산소 이외의 적당한 원소를 중개로 해서 정할 수 있다. |
14 | chemical exchange | 화학교환 | 분자 내의 원자를 그 동위체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치환하는 것. 예를 들면 중수 속에 OH기나 NH2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을 녹이면 분자 내의 수소원자를 중수소로 치환할 수 있다. 좁은 뜻으로는 이와 같은 화학적 교환반응으로 우라늄 등의 동위체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isotope exchange |
15 | chemical processing reactor | 화학 프로세스용 원자로 | chemonuclear reactor |
16 | chemical protection | 화학적 방호 | radiation protection substance |
17 | chemical purity | 화학적 순도 | radiochemical purification |
18 | conversion electron | 전환전자 | 내부 전환에 의해 궤도에서 방출되는 전자. |
19 | conversion factor | 전환비 | conversion ratio |
20 | conversion gain | 전환이득 | 전환율에서 1을 뺀 것. 즉 핵분열을 일으킨 원자핵 1개에 대해서 발생된 핵분열성 원자핵 1개에 대해서 발생된 핵분열성 원자핵의 순 개수의 비. conversion ratio |
21 | conversion plant | 전환공장 | 일반적으로는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을 일정 목적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전환시키기 위한 공장을 말한다. 안전보장조치 용어로서 국제원자력기구의 정의에 의하면 미조사 핵물질 또는 핵분열 생성물 분리 후, 조사후 핵물질의 화학적·물리적 형태를 변화시켜서 그 후의 사용 또는 처리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이 경우, 시설 내의 저장고와 분석부문을 포함한다. 단, 동위원소 분리공장·광석 처리공장은 포함하지 않는다. |
22 | conversion ratio | 전환비(전환분율, 전환율) | 원자로 속에서 핵분열성 원자핵이 한 개 소모될 때마다 핵연료 원료물질에서 새로이 전환되어 생기는 핵분열성 원자핵의 수. breeding ratio |
23 | converter | 전환로(연료전환로, 변환로) | 전환율이 1 이하이나 중성자 경제가 좋은 동력로의 총칭. 전환율이 1 이상인 증식로에 대비해서 부르는 명칭 advanced thermal reactor(ATR) |
24 | coolant | 냉각재 | 원자로 구성재료의 하나. 원자로의 냉각이나 동력을 얻을 목적으로 원자로의 노심부에서 열을 끄집어 내는 역할을 하는 것. 대별해서 액체·기체·액체금속의 3가지가 있다. 실용화되어 있는 것으로서는 액체로서는 물(경수 및 중수)·유기물·액체금속, 기체로서는 헬륨·탄산가스·질소·공기 등이 있다. 균질로에서는 핵연료가 냉각재를 겸하게 된다. 냉각재의 선책에 의해서 원자로의 동작온도가 정해질 때가 많다. |
25 | coolant salt | 냉각재 염 | 원자로의 냉각재로 사용되는 소금으로 Li, Na, K의 불화물, BeF2, HaOH등의 용융염이 있다. |
26 | coolant system geometry | 냉각계통 배치 | 원자로의 냉각계통을 구성하는 각 기기의 배치. |
27 | cooldown | 냉각 | 장기 운전 정지에 앞서 열 수송계통이 냉각되고 압력이 떨어지는 과정. |
28 | cooling | 냉각 | ①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재로 노외로 끄집어 내는 것. 실험용 원자로나 생산용 원자로의 경우에는 원자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안전하게 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나 발전용 원자로나 추진용 원자로의 경우에는 이들의 목적 외에 발생한 열을 동력원으로서 이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경우, 냉각이라 함은 2중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coolant, cooling system, heat exchanger ②방사능 냉각을 말한다. 방사능이 있는 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그 방사능이 어느 정도까지 감소하는 것을 기다려서 작업을 시작하는 것. cooling pond, cooling time |
29 | cooling coil | 냉각코일 | 코일 모양으로 감은 관을 용기 내에 넣고 관에 전기나 물 등의 냉각재를 보내 용기의 내용물을 냉각시키는 것. 외형 크기에 비교하여 유효한 전열면적을 가질 수 없는 것이 결점이며 따라서 너무 큰 용기 내의 열용량에는 사용할 수 없다. 원자력분야에서는 방사성 액체폐기물 저장탱크의 냉각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
30 | cooling column | 냉각탑 | cooling tower |
31 | cooling method | 냉각방식 | cooling system |
32 | cooling pit | 냉각조 | cooling pond |
33 | cooling pond | 냉각지 | ①원자로에서 꺼낸 사용 후 핵연료는 다량의 핵분열 생성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능이 높다. 그러나 핵분열 생성물의 거의는 반감기가 짧아 수 일∼수십일 내에 감쇠한다. 따라서 사용후 핵연료는 원자로에서 꺼내면 곧 방사능이 약해진다. 이를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사용후 핵연료를 곧 풀 속에 넣는다. 이 풀을 냉각지(또는 냉각조)라고 부른다. 냉각지에서 물을 필요로 하는 것은 방사성 붕괴열의 냉각 및 방사선 차폐를 위해서이다. =colling pit ②복수기 냉각수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저수지. |
34 | cooling sodium | 냉각용 나트륨 | 원자로의 냉각재로 사용되는 나트륨(=sodium). 액체나트륨 또는 NaK는 비등점이 높고 열 전달이 좋으며 물과 같이 가압할 필요도 없고 고온운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35 | cooling system | 냉각계통 | 원자로의 냉각방식 또는 냉각을 위한 장치, 재료 등의 계통적인 총칭. 냉각의 방식으로는 대별하여 원자로 내에 냉각 전용통로를 설치하여 냉각재를 원자로 내로 보내는 내부 냉각방식과 핵연료 자체를 밖으로 끄집어 내어 열교환을 시키는 외부 냉각방식이 있으며 또 감속재를 냉각재와 겸하게 한 것도 있다. cooling, coolant, heat exchanger, primary cooling system |
36 | Archaean era | 시생대 | 선캄브리아시대를 세분할 때 18∼26억년이전이 되는 부분의 지질연대명. 이 시기에 생물이 존재했다는 증거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
37 | area external irradiation monitor | 구역외부 조사감시기 | 감시기의 한 가지. 일정 지역의 γ선·중성자선의 공간선량을 감시하는 것. γ선용과 중성자선용이 있다. |
38 | area factor(영) | 구역지수 | 안전보장조치의 용어. 일정 기간 내에 특정의 process로부터 핵물질을 제거하는데 관련해서 쓰는 수치. 특정 process에 대해서 선택되는 수값은 거기서 행해진 작업에 관계한다. 구역지수는 과거의 경험을 기초삼아 제거되는 물질의 양과의 상호관계가 명백히 되어 있는 양이어야 한다. matertial balance area(MBA) |
39 | area internal irradiation monitor | 구역내부 조사감시기 | 감시기의 한 가지. 내부조사에 의한 위험성을 피하기 위해서 특정한 범위 내의 공기 부유입자, 불순물에 의한 물의 오염 또는 물체의 표면오염 등의 감시에 사용한다. dust monitor·gas monitor·water monitor 등이 있다. |
40 | area monitoring | 구역방사선감시(지역방사선감시) | 특정한 지역·건물·실내 또는 시설에 대해서 방사선을 감시하는 것. 즉 방사선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한 지역·건물·실내 등에서의 방사능 오염을 연속적·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것. monitoring |
41 | argon | 아르곤 | 원소의 하나. 기호 Ar. 원자번호 18. 원자량 39.948. 질량수 40, 36, 38 및 35(β+), 37(EC), 41(β-,γ) 등. 불활성 기체 원소의 하나. 공기 중에 부피로 0.933% 존재한다. 용융점 -189.2℃, 비등점 -185.87℃. 밀도 1.7834g/l (0℃, 1atm). 방사선 관리의 입장에서는 공기 중 argon(99.6%가 40Ar)의 방사화에 의해 생기는 41Ar(반감기 110분)이 중요하다. |
42 | arkose | 아르코즈 | 석영·장석에 풍부하며 대체적으로 거친 입자의 사암이다. 통상 그 소재는 화강암. 편마암류의 급격한 풍화분해로 공급되며 조성적으로 그에 가깝다. 퇴적형 우라늄 광상의 모층이 될 때가 많다. |
43 | arsenic | 비소 | 원소의 하나. 원소기호 As. 원자번호 33. 원자량은 74.9216이다. |
44 | artificial element | 인공원소 | 가속기에 의한 입자선의 조사·핵분열 등의 수단에 의해 인공적으로 만든 모든 원소. 이 중에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것을 인공 방사성 동위원소라 한다. artificial radioactive isotope |
45 | artificial graphite | 인조흑연 | 석유, 코크스 등을 필러로 하고 콜타르 등을 바인더로 하여 2,500∼3,000℃로 가열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흑연으로 천연비늘 모양의 흑연에 가깝다. 흑연화 온도나 원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천연물에 비하면 결정자는 수 100Å정도로 다소 작고 규칙성도 적다. 수 μ의 단위입자의 집합으로 된 다공질체이며 통기율이 크다. |
46 | artificial nuclear disintegration | 인공핵붕괴 | 가속기를 사용해서 인공적으로 원자핵을 부수는 것. |
47 | artificial radioactive element | 인공방사성원소 | 안정된 원자핵에 인공적으로 핵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생긴 방사성 원소. 인공 방사성 원소는 자연 방사성 원소와 같은 붕괴법칙에 따르며 그 반감기에 따라 특색이 있다. |
48 | artificial radioactive isotope | 인공방사성동위원소(인공방사성동위체) | 어떤 핵종 또는 원소의 방사성 동위원소 중 인공적인 핵변환에 의해서 생긴 것. |
49 | artificial radioactive nuclide | 인공방사성핵종 | 인공적인 핵변환에 의해서 생긴 방사성 핵종. |
50 | artificial radioactivity | 인공방사능 | 핵반응의 결과로 생기는 방사능. 즉 안정된 원자핵에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 또는 중성자선. γ선 등을 충돌시켜서 생긴 동위핵이 갖는 방사능. |
Open API 명세 확인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