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중구_문화유산 현황
※ 파일 데이터의 일부 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 내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산 복병산 배수지 | 부산광역시 중구 샘길 10 |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시설관리사업소 | 제327호 | 2007-07-03 | 일제 | 국가등록문화유산 | 1910 | 성지곡 수원지에서 물을 끌어와 부산시민들의 각 가정에 공급했던 배수지로 1910년에 건설되었다. 모두 3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배수지 형식을 따라 지하에 저수조를 시설하고 그 위에 복토한 후 잔디를 심어 놓았다. 여과시설 입구와 벽체는 과소벽돌 콘크리트조 혹은 붉은 벽돌조로 벽체상부는 석재로 마감되어 있다. 입구는 아치형태의 석조 문틀로 그 위에 현판이 있다. 복병산배수지의 준공으로 부산은 본격적인 상수도 시대를 맞이하게 되어, 부산 근대 수도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 | www.bsjunggu.go.kr/tour/ | 2944.2㎡ | 051-600-4066 | 부산광역시 중구 | 2024-07-24 | 35.106119 | 129.033052 | |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99번길 5-1 |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 | 제573호 | 2013-10-29 | 일제 | 국가등록문화유산 | 1924 |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은 1924년에 지어진 로마네스크양식의 벽돌조 건물로 최초 내부 평면은 1랑식 장방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1964년 측랑(측면 복도)이 증축되어 변형된 2랑식 평면구성을 갖고 있다. 종탑부의 지붕처마 및 버트레스 상부의 석재장식, 제단 아치의 석재장식 등이 뛰어나며, 종탑의 첨탑형태와 제단 앱스 천장의 석조리브는 국내에서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 www.bsjunggu.go.kr/tour/ | 268.4㎡ | 051-600-4066 | 부산광역시 중구 | 2024-07-24 | 35.103436 | 129.030616 | |
舊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부산근대역사관)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04 | 부산근대역사관 | 제49호 | 2001-05-16 | 일제 | 시기념물 | 1929 | 일제 강점기인 1929년 지어진 이 건물은 최초에는 식민지 수탈기구인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었고, 해방 후인 1949년부터는 미국 해외공보처 부산문화원이 되었다. 이후 부산시민들의 끊임없는 반환요구로 미문화원이 철수하고, 1999년 대한민국정부로 반환된 것을 그 해 6월 부산시가 인수하였다. 이 건물이 침략의 상징이었던 만큼 부산시는 시민들에게 우리의 아픈 역사를 알릴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근대역사관으로 조성하였다. | www.bsjunggu.go.kr/tour/ | 1513.7㎡ | 051-600-4066 | 부산광역시 중구 | 2024-07-24 | 35.102674 | 129.031155 | |
부산지방기상청 | 부산광역시 중구 복병산길32번길 5-11 | 부산지방기상청 | 제51호 | 2001-10-17 | 일제 | 시기념물 | 1934 | 1934년 준공된 부산지방기상청 건물은 선박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외관은 르네상스적 기풍을 지니고 특히 내부수직창의 기술적 여닫이 처리와 천장 몰딩 문양 거푸집 처리가 특징이다. 2001년 10월 17일 부산광역시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었다. 1948년 ‘국립중앙관상대 부산측후소’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70년 ‘중앙관상대 부산지대’로 승격하였다. 1982년 ‘중앙기상대 부산지방기상대’로 개칭된 뒤 1992년 지금의 ‘부산지방기상청’이 되었다. 2002년 부산지방기상청은 옛 동래세무서 자리로 이전하였고, 현재 이 건물에서는 기상관측 업무만 담당하고 있다. | www.bsjunggu.go.kr/tour/ | 9145㎡ | 051-600-4066 | 부산광역시 중구 | 2024-07-24 | 35.104792 | 129.032235 | |
영도대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7가 80번지 ~ 영도구 대교동 1가 190-1 | 부산시설공단 교량사업단 | 제56호 | 2006-11-25 | 일제 | 시기념물 | 부산시 | 1934 | 영도대교는 현재 우리나라에 잔존하는 유일한 단엽식 도개교로 희소 가치가 매우 높은 교량이다. 또한 일반적인 도개교와는 달리 안벽부에 도개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등 도개교량의 형식에서도 특이성이 인정되는 등 한국 교량사에 있어서도 유례가 없어 근대 교량사를 연구하는 데에 대단히 중요한 교량으로 그 보존가치가 매우 높다. 일제강점기부터 부산시민과 애환을 함께 해 온 영도대교는 8.15해방과 6.25전쟁 이후 생활고에 지친 피난민들이 애환과 망향의 슬픔을 달랬었던 장소였다. 전쟁 당시 영도대교 인근은 피난민으로 가득 찼던 우리나라 근대사와 함께 해온 구조물인 동시에 근대 부산의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는 다리이다. 영도대교의 건설은 부산항 물류장 확충과 간선도로의 개설과 함께 근대 부산의 도시 발달에서 중요한 사업이었다. 특히 영도는 영도대교의 건설로 인하여 부산 도심과 육로로 연결되고 전차가 개통되는 등 도시 성장의 기폭제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 www.bsjunggu.go.kr/tour/ | 폭 18.3m 길이 214.7m | 051-600-4066 | 부산광역시 중구 | 2024-07-24 | 35.092616 | 129.038322 |
舊한국은행 부산본부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12 | 부산광역시 | 제70호 | 2013-09-25 | 현대 | 시문화유산자료 | 1963 | 구)한국은행 부산본부는 1909년 7월 공포한 대한제국의 「한국은행조례」에 의해 설립된 국책은행인 한국은행 부산지점(일제강점기 조선은행 부산지점)이 있었던 곳이다. 일제강점기에 현 부지에 있었던 조선은행 부산지점 건물은 경성(서울)의 본점과 함께 르네상스 스타일의 외관을 가진 건물로 타츠노카사이 설계사무실에서 설계하여 준공하였으나, 해방 이후인 1963년 옛 건물을 철거하고 지금의 근대식 건축물을 신축하여 사용하였다. | www.bsjunggu.go.kr/tour/ | 3028.1㎡ | 051-600-4066 | 부산광역시 중구 | 2024-07-24 | 35.102344 | 129.031787 | |
舊부산 임시측후소 청사 | 부산광역시 중구 흑교로59번길 16-4 | 부산광역시 | 제88호 | 2015-10-07 | 근대 | 시문화유산자료 | 1904 | 러일전쟁 때 군사행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1904년 육해군의 위탁을 받아서 설립한 관청으로 일본이 한국에 세운 최초의 측후소이다. 일반 기상관측 외에 상층기류 및 항공기상 관측을 통해 매일 일기예보, 폭풍 경보의 자료로 삼았다. 또 넓게는 안팎으로 관계되는 방면에 바로 보도함으로써 기상관측상 국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건립 당시에는 지진계실, 욕실, 창고 등 4동의 건물이 있었으나 문화재 지정을 위한 조사 당시에는 청사건물로 추정되는 목조 2층 건물만 남아있었다. 옥상의 풍력대는 사라졌지만 주출입구와 목구조의 비늘판벽 마감과 오르내리기창, 박공지붕의 기와 등은 원형이 잘 남아있었다. 현재는 멸실우려로 해체 이후 기록화 사업의 진행과 함께 향후 복원을 위해 잔존부재들을 중구에서 보관 중에 있다. | www.bsjunggu.go.kr/tour/ | 75.87㎡ | 051-600-4066 | 부산광역시 중구 | 2024-07-24 | 35.1043872 | 129.0236633 |
Open API 명세 확인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