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데이터포털 > 이용안내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공공데이터’란 공공기관이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光)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되어 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 및 영상 등(이들의 복합체 포함)으로 표현된 모든 종류의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합니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는 최근 들어 민간 공개를 통한 다양한 정보서비스 발굴·제공 등 국가정보화를 선진화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품질관리를 통해 원활한 활용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데이터 품질(Data Quality)”이란 “데이터의 최신성, 정확성, 상호연계성 등을 확보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유용한 가치를 줄 수 있는 수준”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품질을 사용자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와 활동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품질관리(Data Quality Management)”란 사용자에게 유용한 가치를 제공하도록 “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품질 목표 설정, 품질 진단 및 개선 등 일련의 활동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도구”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는 데이터 구축 이후 운영 및 활용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업무로 인식되어 왔으나 범정부 차원의 공공기관 품질 진단 사업 등의 결과를 살펴보면, 주요 품질 이슈에 대한 원인이 데이터의 운영 및 활용 단계를 포함한 정보시스템 구축 단계의 품질관리 활동 부재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이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아래의 품질관리 개념도처럼 데이터의 구축부터 운영, 활용까지의 정보 생명주기(Life Cycle)를 고려하여 전 단계에 걸쳐 적용되는 체계를 확보하도록 데이터 품질관리를 체계화 하여야 합니다.
배경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공공데이터 개방 시 적용하기 위한 공통 개방 기준과 데이터 셋 분야별 개방 기준(제공항목, 속성정보, 제공형식 등) 및 기타 데이터 개방 표준을 정의합니다.
적용대상 :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연번 | 분 야 | 15대 전략분야 |
연번 | 분 야 | 15대 전략분야 |
---|---|---|---|---|---|
1 | 주차장정보 | 국토교통 | 41 | 도시철도노선정보 | 국토교통 |
2 | 도시공원정보 | 문화관광 | 42 | 도시철도역사정보 | 국토교통 |
3 | 어린이 보호구역 | 재해안전 | 43 | 도시철도운행정보 | 국토교통 |
4 | 공중화장실 | 공공정책 | 44 | 자전거보관소 | 국토교통 |
5 | 사회적기업 | 공공정책 | 45 | 자전거대여소 | 국토교통 |
6 | 무인민원 발급정보 | 공공정책 | 46 | 보안등정보 | 재해안전 |
7 | 전통시장 | 문화관광 | 47 | 길관광정보 | 문화관광 |
8 | 문화축제 | 문화관광 | 48 | 지역특화거리 | 문화관광 |
9 | 민박/펜션업소 | 문화관광 | 49 | 박물관미술관정보 | 문화관광 |
10 | 공연행사정보 | 문화관광 | 50 | 지정약수터정보 | 환경 |
11 | 무료급식소 | 보건복지 | 51 | 농기계임대정보 | 농업축산 |
12 | CCTV | 재해안전 | 52 | 마을기업 | 공공정책 |
13 | 어린이집 | 보건복지 | 53 | 산불위험지역 | 재난안전 |
14 | 도서관 | 교육 | 54 | 민방위대피시설 | 재난안전 |
15 | 평생학습강좌 | 교육 | 55 | 자동심장충격기 | 재난안전 |
16 | 휴양림 | 문화관광 | 56 | 소규모공공시설위험지정정 | 재난안전 |
17 | 관광안내소 | 문화관광 | 57 | 거주자우선주차정보 | 교통물류 |
18 | 농어촌체험마을 | 문화관광 | 58 | 견인차량보관소 | 공공행정 |
19 | 상수도수질검사 | 환경 | 59 | 자동차검사소 | 교통물류 |
20 | 전기차충전소 | 환경·교통 | 60 | 재활용센터 | 사회복지 |
21 | 무료와이파이 | 과학기술 | 61 | 건강증진센터 | 보건의료 |
22 | 공공시설개방정보 | 공공정책 | 62 | 치매센터 | 보건의료 |
23 | 금연구역 | 보건복지 | 63 | 야영(캠핑)장 | 문화관광 |
24 | 세차장 | 국토교통 | 64 | 관광지정보 | 문화관광 |
25 | 보호수 | 문화관광 | 65 | 낚시터정보 | 문화관광 |
26 | 무더위쉼터 | 보건복지 | 66 | 가로수길정보 | 문화관광 |
27 | 재해위험지구 | 재해안전 | 67 | 향토문화유적 | 문화관광 |
28 | 법정구역(읍면동)정보 | 국토교통 | 68 | 입찰공고 | 공공행정 |
29 | 연속지적도형정보 | 국토교통 | 69 | 계약정보 | 공공행정 |
30 | GIS건물통합정보 | 국토교통 | 70 | 낙찰정보 | 공공행정 |
31 | 건축인허가기본정보 | 국토교통 | 71 | 개별공시지가정보 | 국토관리 |
32 | 건축인허가 전유공용면적 | 국토교통 | 72 | 개별주택가격정보 | 국토관리 |
33 | 건축인허가대지위치 | 국토교통 | 73 | 초·중등학교위치 | 교육 |
34 | 건축인허가주택유형 | 국토교통 | 74 | 초등학교통학구역 | 교육 |
35 | 전국주요상권현황 | 고용노동 | 75 | 중학교학교군 | 교육 |
36 | 농수축산물도매시장경락가 | 농업축산 | 76 | 고등학교학교군 | 교육 |
37 | 농수축산물조사가격 | 농업축산 | 77 | 고등학교비평준화지역 | 교육 |
38 | 산정보 | 문화관광 | 78 | 교육행정구역 | 교육 |
39 | 등산로 | 문화관광 | 79 | 학교학구도연계정보 | 교육 |
40 | 교통사고다발지역 | 국토교통 |
행정표준용어 필요성
행정표준용어사전이란 각급 행정기관에서 업무적으로 사용되는 명사형 어휘에 대해 행정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및 운용시 사용되도록 사전화한 단어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업무관련 정보에 대한 통일된 용어의 부재로 DB의 중복구축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부재하여
유사업무간 정보공동이용을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용어체계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행정표준용어 목적
행정용어를 데이터 사전화하여 용어의 의미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동일한 의미의 용어에 대하여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게 하여 기관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습니다.
논리적 데이터요소의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물리적 데이터요소의 명칭을 부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동의어그룹에 대한 표준용어의 제공을 통하여 이음동의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행정정보 코드표준화를 위해 2015년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행정안전부 고시 제2015-26호) ”을 개정하였습니다. 현재 총 310종의 행정표준코드가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행정표준코드관리시스템 : https://code.mogaha.go.kr/
제정일 | 2015년 7월 8일 |
---|---|
총괄기관 |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 공공데이터정책과 |
대상기관 |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국가정보화법 3조 10호에 따른 공공기관 |
주요내용 | 제정목적 및 적용범위, 구축·운영 단계별 표준화 관리, 행정표준용어, 점검 및 평가, 별표·서식 |
공공기관 데이터베이스의 생산·운영·개방 각 단계에서 준수할 표준화 체계를 규정하여 고품질 데이터 활용기반 마련하고자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23조(공공데이터의 표준화), 전자정부법 제50조(표준화) 및 전자정부법 시행령 제59조(표준화)에 따라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을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 ‘08년 제정된「행정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행자부고시)는 폐지하고, 본 지침으로 대체합니다.
구분 | 구성 | 내용 |
---|---|---|
지침 | 총칙 | 지침의 제정 목적과 정의, 적용범위를 규정 |
추진체계 | 행정 DB의 구축 및 운영관리에 필요한 추진체계로서 역할과 임무를 규정 | |
공공DB 표준화 관리 | 공공DB 표준화 관리체계 수립과 적용, 점검 및 조치에 관한 사항들을 규정 | |
행정표준용어 등의 관리 | 행정표준용어의 신청, 검토, 제·개정 공지 등에 대한 관리 사항들을 규정 | |
정기점검 및 평가 | 지침의 준수에 대한 정기점검 및 평가 실시에 대한 사항들을 규정 | |
보칙 | 공공기관의 자체 시행세칙 제정과 검토에 대한 사항들을 규정 | |
별표/서식 | 공공DB 표준화 점검표와 코드정의서 등에 대한 서식을 정의 |
기관 자체적인 품질관리 역량을 축적하여 양질의 데이터를 관리, 개방‧활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관리체계 구축 도모
「공공데이터법」제9조(제공 운영실태 평가), 제22조(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4개 영역(계획·구축·운영·활용), 9개 평가지표 * 붙임1. 평가지표
모든 지표 5등급 체계(도입전 → 도입 → 관리화 → 체계화 → 최적화)
계획(20점), 구축·운영(각 35점), 활용(10점) 영역점수의 합
600여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연차적으로 기관평가 확대 실시
4개 영역(계획·구축·운영·활용), 9개 평가지표
평가영역 | 평가지표 | 평가구분 | |
---|---|---|---|
총괄지표(4개) | 운영지표(5개) | ||
계획영역(20점) | 데이터 품질관리 기반(5점) | ● | |
데이터 품질관리 역량(5점) | ● | ||
데이터 표준관리 체계(10점) | ● | ||
구축영역(35점) | 데이터 표준 적용 확산(15점) | ● | |
데이터 구조 안정화(15점) | ● | ||
데이터 연계체계 정비(5점) | ● | ||
운영영역(35점) | 데이터 품질진단 및 개선(15점) | ● | |
오류 데이터 관리(20점) | ● | ||
활용영역(10점) | 데이터 활용성 제고(10점) | ● |
기관 차원의 품질기반, 역량강화, 표준화 체계 등 평가
기관 고유의 업무 수행을 위하여 생성, 취득하여 운영하는 보유 데이터베이스(DB) 평가
계획(20점), 구축·운영(각 35점), 활용(10점) 영역점수의 합 *각 지표는 5등급 체계
<교육 과정 및 내용>
과정명 | 교육내용 | 시간(h) | 비고 | |
---|---|---|---|---|
초급과정 | 품질관리 기본 | 품질관리 방법, 수준평가 지표 이해 등 | 3 | 이론 |
품질진단 기본 | 품질진단 이해, 진단도구 사용법 등 | 3 | 실습 | |
중급과정 | 품질관리/진단 실무 | 품질관리 방법 및 절차, 품질관리 사례 등 업무규칙, 프로파일링 실습, 품질진단 항목 및 오류개선 등 |
4 | 이론 실습 |
고급과정 | 품질관리 전문 | 품질관리 체계, 데이터 정규화, SQL 활용 프로파일링, 업무규칙 도출, 오류개선 등 |
18 | 이론 실습 |
업무 | 내용 |
---|---|
품질·개방 전문 컨설팅 | 공공데이터의 품질과 개방관리체계 진단 후 개선방향 제시, 전문상담 실시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정책 | 표준화 및 국가차원 품질관리 정책 안내 |
품질관리 교육ㆍ홍보 |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품질관리 매뉴얼 및 지침해설서 보급, 품질관리 교육(프로그램) 운영 |
품질관리 서비스지원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관련 콘텐츠 발굴·제공 |